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서울 마포구 소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하반기 연체율 관리를 위한 ‘부실채권 정리 간담회’가 열렸다. 지난 7월 첫 상견례 이후 이번이 벌써 세 번째 만남이다. 매달 한 번씩 관련 회의가 진행됐다.
이 회의는 금융당국과 중앙회가 추진 중인 연체채권 제3자(민간 회사) 매각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현재 연체채권 매각 의사가 있는 저축은행들이 참석해 NPL(부실채권) 투자사에 처리 방식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을 전달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도 상견례 때와 마찬가지로 처리 가격, 방식 등에 대한 원론적인 대화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부실채권 연내 매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5월 금융당국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제한했던 매각 주체를 민간 회사로 넓혔을 때만 해도 채권 정리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현재는 그 기대감이 상당 부분 사그라들었다.
이 때문에 최악에는 매각 자체가 성사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부정적인 전망도 흘러나온다. 현재도 부실채권 매입에 관심을 보이는 곳은 우리금융F&I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실채권 매각이 늦어지면서 저축은행 연체율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저축은행 총여신 연체율은 5.33%로 지난해 말보다 1.92%포인트 상승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비율 또한 5.61%로 1.53%포인트 높아졌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으로서는) 부실채권을 장기 보유하면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의무가 부여돼 위험관리비용 부담도 함께 늘어나게 된다”며 “부실채권 매각 과정에서 효율성 개선을 위해 금융당국 차원에서 추가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