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논의만 벌써 3번째…저축은행 부실채권 처리 '난항'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3-09-18 1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부실 채권 가격 놓고 저축은행과 NPL사 입장차

  • 매각 불발 우려도...추가 대책 마련 절실

tkw
사진=아주경제DB
저축은행 부실채권 정리 작업이 좀처럼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올 하반기부터 매달 릴레이 간담회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결과는 도출되지 않고 있다. 팔려는 쪽과 사는 쪽 사이에 가격, 방식 등에 대한 견해차가 커 실제 매각이 성사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서울 마포구 소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하반기 연체율 관리를 위한 ‘부실채권 정리 간담회’가 열렸다. 지난 7월 첫 상견례 이후 이번이 벌써 세 번째 만남이다. 매달 한 번씩 관련 회의가 진행됐다.
 
이 회의는 금융당국과 중앙회가 추진 중인 연체채권 제3자(민간 회사) 매각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현재 연체채권 매각 의사가 있는 저축은행들이 참석해 NPL(부실채권) 투자사에 처리 방식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을 전달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도 상견례 때와 마찬가지로 처리 가격, 방식 등에 대한 원론적인 대화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부실채권 연내 매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5월 금융당국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제한했던 매각 주체를 민간 회사로 넓혔을 때만 해도 채권 정리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현재는 그 기대감이 상당 부분 사그라들었다.
 
최대 걸림돌은 가격이다. 저축은행은 부실채권 가격을 좀 더 높게 인정받기를 원하지만 NPL 투자사들은 더 낮은 가격으로 인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민간 NPL 투자사들이 개인 무담보 채권을 다뤄본 경험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그간 민간 회사들은 담보채권 위주로 다뤄온 만큼 처분 방식에 대한 숙련도가 떨어진다. 이들은 부실채권을 매입해도 채권추심을 신용정보사에 위탁해야 하고 제3자 재매각 또한 금지된다는 점에서 부실채권을 인수해도 큰 이익을 남기기 어렵다. 이들이 채권 인수 가격에 신중히 접근하는 이유다.
 
이 때문에 최악에는 매각 자체가 성사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부정적인 전망도 흘러나온다. 현재도 부실채권 매입에 관심을 보이는 곳은 우리금융F&I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실채권 매각이 늦어지면서 저축은행 연체율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저축은행 총여신 연체율은 5.33%로 지난해 말보다 1.92%포인트 상승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비율 또한 5.61%로 1.53%포인트 높아졌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으로서는) 부실채권을 장기 보유하면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의무가 부여돼 위험관리비용 부담도 함께 늘어나게 된다”며 “부실채권 매각 과정에서 효율성 개선을 위해 금융당국 차원에서 추가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