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연말부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갈아타기가 가능해지면서 낮은 금리를 무기로 한 인터넷전문은행이 주담대 시장을 빠르게 장악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터넷은행 사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50대와 60대 이상 금융 취약계층은 금리 절감 혜택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 아파트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신잔액 기준 연 3.66~5.65%다. 지난달 9월 25일 연 4.15~6.01%보다 약 0.5%포인트 낮은 수치다. 카카오뱅크 주담대 변동금리는 이날 기준 연 4.01~5.75%다. 다른 금융기관 대출 상환 목적일 때 제공되는 0.4%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하면 금리 하단은 3.61%로 낮아진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금리 수준이 연 4.17~7.12%인 것과 비교하면 인터넷은행은 금리 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셈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환 주담대 대환대출이 가능하면 인터넷은행으로 고객 쏠림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인터넷은행 3사는 이미 고금리 국면에서 공격적인 전세대출 금리 인하 조치로 혜택을 본 경험이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이들 3사의 가계대출 점유율은 2021년 말 3.7%에서 6.0%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은 젊은 층에 비해 금리 절감 혜택을 누리지 못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60대는 52.6%가, 70세 이상은 65.3%가 인터넷은행을 '잘 모른다'고 답했다. 2021년 8월 기준 50대와 60대, 70세 이상 고령층의 인터넷은행 이용률은 각 11.9%, 3.1% 0.4%에 불과하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어서 인터넷은행이 주담대 고객을 많이 뺏어올 수 있을 테지만 고령층은 사실 영업점으로 가서 직접 거래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라며 "고령층은 대환대출 금리 혜택을 크게 못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오프라인 영업점을 가진 시중은행들은 고령층 확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 선진국에서는 고령층 금융 소외를 '경제적 학대'로 인식할 정도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보고 있다"며 "본격적인 온라인 주담대 대환대출 시대에는 시중은행들은 고령층을 흡수하는 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