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류 수입이 최근 4년 사이에 급증하면서, 주류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2배로 늘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맥주·위스키 등 해외 주류의 수입액은 지난해 16억2000만 달러(약 2조1796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10억5000만 달러(약 1조4127억원)에서 54%나 늘어난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맥주·소주 등 국내 주류 수출액은 2018년 4억2000만 달러(약 5650억원)에서 2023년 4억3000만 달러(약 5785억원)로 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출액과 수입액 차이인 무역수지는 지난해 12억 달러(약 1조6145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2018년 6억3000만 달러(약 8476억원)에서 4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윤 의원 측은 국내 소비자의 해외 고급 주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데 비해, 국내 고급 주류 수출은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수입 주류의 톤(t) 당 평균 가격은 1989달러(약 267만6100원)다. 2018년 1246달러(약 167만6430원)에서 60% 높아졌다.
반면 수출 주류 평균 가격은 지난해 1104달러(약 148만5376원)로, 2018년 895달러(약 120만4177원) 대비 23% 높아졌다. 지난해 평균 가격만 놓고 보면 수입 주류가 수출 주류 대비 80% 높다.
윤 의원은 "무역적자 심화를 타개하고, 국내 주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국내 생산 주류 주원료인 쌀은 과잉 공급 상태로, 무역과 쌀 생산 불균형을 타개할 강력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맥주·위스키 등 해외 주류의 수입액은 지난해 16억2000만 달러(약 2조1796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10억5000만 달러(약 1조4127억원)에서 54%나 늘어난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맥주·소주 등 국내 주류 수출액은 2018년 4억2000만 달러(약 5650억원)에서 2023년 4억3000만 달러(약 5785억원)로 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출액과 수입액 차이인 무역수지는 지난해 12억 달러(약 1조6145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2018년 6억3000만 달러(약 8476억원)에서 4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반면 수출 주류 평균 가격은 지난해 1104달러(약 148만5376원)로, 2018년 895달러(약 120만4177원) 대비 23% 높아졌다. 지난해 평균 가격만 놓고 보면 수입 주류가 수출 주류 대비 80% 높다.
윤 의원은 "무역적자 심화를 타개하고, 국내 주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국내 생산 주류 주원료인 쌀은 과잉 공급 상태로, 무역과 쌀 생산 불균형을 타개할 강력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