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성대의 영원한 성군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지 577돌이 되었습니다.
바른 소리로 백성을 가르치겠다는 군주의 결연하고도 따뜻한 의지 덕분에 한글은 가장 배우기 쉽고 가장 과학적인 문자로서 그 위용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키오스크 도입 등의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하여 본지가 취재에 나섰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우리 사회 속에서 한글은 어떻게 자리하고 있을까요?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바른 소리로 백성을 가르치겠다는 군주의 결연하고도 따뜻한 의지 덕분에 한글은 가장 배우기 쉽고 가장 과학적인 문자로서 그 위용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키오스크 도입 등의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하여 본지가 취재에 나섰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우리 사회 속에서 한글은 어떻게 자리하고 있을까요?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