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가자지구 지상군 투입 미루는 이유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성진 기자
입력 2023-10-18 16: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질의 안전 고려해 연기

  • 동맹국 등 세계 여론도 의식

지상군 투입 준비하는 이스라엘군
     이-팔 접경지 신화연합뉴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16일현지시간 이스라엘 남부 팔레스타인 접경 지역에서 이스라엘 군인들이 기관총을 장착한 지프로 이동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대규모 병력과 탱크 장갑차를 가자지구 주변에 집결해 놓고 있다 20231017       kjwynacokr2023-10-17 092027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16일(현지시간) 이스라엘 남부 팔레스타인 접경 지역에서 이스라엘 군인들이 기관총을 장착한 지프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연합뉴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지상군 투입을 연기하는 이유에 대한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주 말부터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지상군 투입 가능성이 계속 거론됐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움직임은 나오지 않고 있다. 텔레그래프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지상군 투입을 주저하는 이유로 △인질의 안전 △민간인 피해 축소를 외치는 동맹국의 요구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개입 가능성 등을 언급했다. 

우선 이스라엘군은 지상군 투입 시 인질의 안전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이스라엘군은 하마스에 납치·억류된 인질을 199명으로 보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민간인으로 여성과 어린이, 노인이 많다. 안전 우려가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텔레그래프는 "지상군 투입 시 인질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군이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라는 동맹국의 요구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 텔레그래프의 분석이다. 서방 국가를 중심으로 국제 여론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강조한다. 전날 이스라엘을 방문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나 가지지구 내 인도주의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가자지구에 인도주의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텔레그래프는 "서방 여론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대규모 공격 대상으로 삼으면 이스라엘에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며 "물, 전기, 에너지를 차단한 가자지구 포위 공격과 3000명에 가까운 사망자를 만든 공격은 이미 여론이 등 돌릴 가능성을 만들었다. 하지만 지상군 투입은 더욱 강한 폭력 행위이다"라고 지적했다.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 이란의 개입 가능성도 변수로 지목된다. 현재 헤즈볼라와 이스라엘군은 이스라엘 북부 골란고원 인근에서 산발적인 교전을 벌이고 있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지상군을 투입하면 북부 전선에서 전면전을 벌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이란 역시 팔레스타인에 개입 가능성을 수차례 내비치고 있어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