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0대 증권사(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삼성·KB·하나·메리츠·키움·신한투자·대신) 고유자산운용부서(주식·채권·파생 포함) 임직원이 받은 상여금 규모는 3018억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8년 469억4500만원, 2019년 447억3900만원, 2020년 552억7800만원, 2021년 728억5000만원, 2022년 819억9100만원 수준으로 상여가 지급됐다. 이 기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증권사별로는 메리츠증권과 하나증권 임직원이 5년 간 694억3100만원, 629억5300만원을 받아 타 증권사 대비 성과 보상 규모가 가장 컸고 그 뒤를 KB증권 413억5500만원, 삼성증권 329억2100만원, 신한투자증권 296억8100만원 가량을 지급했다.
이와 관련해 감독 당국에서는 성과급 지급 규모가 과도한 것은 아닌지 점검해 본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제로 금리 특수에 주식시장이 활황 가도를 달리면서 증권사들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2021년 말부터 기준금리 상승 등으로 인해 실적이 꺾였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확대되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었고, 이에 금융당국은 올해 초 성과급 지급 현황을 점검 받기도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달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 증권사 임직원이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지적에 대해 "잘못 설계된 체계로 인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이 발표한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2022년 증권회사(58개사) 당기순이익은 4조5131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지난해 9조896억원 대비 50.3%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