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비현실적 현행 슈퍼컴퓨터 6호기 계획, 빠른 포기가 답이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일용 기자
입력 2023-10-29 09: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벌써 세 번째 유찰...가격 변경 없이 지속 공고는 무의미

강일용 기자 사진아주경제DB
강일용 기자 [사진=아주경제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추진 중인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 사업이 벌써 세 번째 유찰됐다.

단순히 유찰된 것이 문제가 아니다. 세 번 모두 그 어떤 사업자도 6호기를 자기가 구축하겠다고 나서지 않았다(무응찰). 정부의 현행 6호기 사업 계획에 치명적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다.

HPE(크레이), 레노버, 아토스 등 글로벌 슈퍼컴퓨터 사업자가 6호기 구축에 관심을 두지 않는 이유는 정부가 책정한 6호기 구축 예산이 비현실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6호기는 1억4564만 달러(약 19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600페타플롭스(PF)급 성능의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내후년 본격 가동하는 점을 고려해도 전 세계 10위권 성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지난해 말 챗GPT 등장으로 인한 생성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슈퍼컴퓨터의 핵심 부품인 AI 반도체(AI칩) 가격이 전 세계적으로 폭등하면서 정부가 책정한 예산은 비현실적인 수치가 됐다.

이는 단순히 계산기만 몇 번 두드려봐도 쉽게 알 수 있는 문제다. 현재 슈퍼컴퓨터 구축에 가장 널리 쓰이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H100’은 하나의 칩당 60테라플롭스(TF)의 성능을 낸다. H100 단품을 슈퍼컴퓨터 구축에 활용할 수는 없고 보통 8대의 H100을 연결한 DGX H100 시스템을 대규모로 병렬 연결하는 형태로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 

480TF의 성능을 갖춘 DGX H100 시스템의 현재 공식 가격은 46만 달러다. (실제로는 더 적게 필요하지만) 단순 계산으로는 DGX H100 시스템을 1250개 도입해야 600PF급 성능의 슈퍼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가격으로 환산하면 5억7500만 달러(약 7800억원)에 달한다. 600PF급 슈퍼컴퓨터를 만들려면 중앙처리장치(CPU)와 D램, 저장장치 등의 가격을 제외하고 순수 AI 반도체 구매 비용만 7000억원이 필요한 셈이다. CPU, D램, 저장장치 등을 줄이고 구축 비용을 최소화해도 600PF급 슈퍼컴퓨터를 만들려면 8000억~9000억원의 비용을 투입해야 한다는 계 슈퍼컴퓨터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2000억원이 채 되지 않는 정부의 6호기 구축 예산이 얼마나 비현실적인지, 왜 어떤 슈퍼컴퓨터 사업자도 6호기 사업 참여 의사를 드러내지 않는지 알 수 있다.

아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과기정통부와 KISTI는 엔비디아 대신 경쟁사 인텔·AMD의 AI 반도체를 채택함으로써 6호기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 세계적인 AI 반도체 확보 열풍으로 인텔·AMD의 AI 반도체도 가격이 오르고 시장에서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슈퍼컴퓨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인텔의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GPU 맥스’는 2 엑사플롭스(EP)의 성능으로 차기 전 세계 1위 슈퍼컴퓨터 자리를 예약한 미국 아르곤연구소 ‘오로라’에 전량 공급되고 있어 다른 기업·기관이 구매하는 게 현재 불가능하다. AMD의 AI 반도체 ‘인스팅트 MI 300 시리즈’는 연말은 돼야 양산을 시작하며 가격도 H100보다 살짝 낮을 뿐이다. 이마저도 생성 AI 산업 주도권을 쥐려는 전 세계 빅테크들이 모두 사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과기정통부·KISTI가 비현실적인 구축 비용을 고수하면 6호기 가동은 점점 요원해질 뿐이다. 업계에선 이미 내년 중 6호기 구축·운영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해법은 과기정통부가 현행 6호기 구축 계획을 과감히 포기하고 재빨리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신청해 구축 예산을 현실적인 수치로 증액하는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지난 27일 진행한 국회 과방위 종합국정감사에서 “(6호기) 예산을 조정하든지 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은 환영할 만하다. 미국·중국·유럽연합·일본 등 선진국이 생성 AI를 포함한 다양한 과학·IT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앞다퉈 차세대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상황에서 더는 한국만 뒤처져서는 안 된다.

다만 6호기 계획 변경이 600PF급 성능을 포기하는 것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종합국정감사 당시 이 장관 대신 답변을 한 과기정통부 실무자는 “3~4차 공고 때에도 참가 희망 사업자가 없으면 (6호기) 스펙을 바꿔서라도 5차 공고까지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현행 예산에 맞춰 6호기 성능 목표를 낮출 수도 있음을 암시한 것 아닌지 우려된다. 정부가 과학 연구개발에 필요한 예산 투자를 줄이는 기조이지만, 향후 한국의 과학·IT 연구의 경쟁력을 좌우할 6호기 구축 사업만큼은 과기정통부뿐 아니라 대통령실·기획재정부 차원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 지원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