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일 “국민들이 은행에 갖는 불만들이 꽤 있다고 느끼는데, 왜 이런 문제가 있는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관에서 열린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처럼 말했다. 그는 “금리가 급등하고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온전히 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미국은 은행이 금리 변동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데 우리는 그 충격을 개인들이 짊어져야 한다. 국민이 계속 희생해야 하는지 은행들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이 이자이익을 바탕으로 역대 최고 수준의 경영성적표를 받아드는 게 자체적인 혁신 노력이 아니라 구조적 환경 변화에 의한 것이란 주장이다.
그는 “올해 은행의 이자수익이 60조원 수준에 달해 역대 최고 수준일 것텐데 3분기 영업이익을 비교하면 삼성전자·LG전자·현대자동차를 다 합친 것보다도 크다”며 “과연 (은행들이) 반도체·자동차와 비교해 어떤 혁신을 했길래 60조원의 이자 이익을 거둘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 원장은 횡재세와 관련해 “횡재세 자체로는 헌법적, 경제 효과적, 기업 영업·정책적 측면에서 다양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문제들이 논의될 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관에서 열린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처럼 말했다. 그는 “금리가 급등하고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온전히 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미국은 은행이 금리 변동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데 우리는 그 충격을 개인들이 짊어져야 한다. 국민이 계속 희생해야 하는지 은행들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이 이자이익을 바탕으로 역대 최고 수준의 경영성적표를 받아드는 게 자체적인 혁신 노력이 아니라 구조적 환경 변화에 의한 것이란 주장이다.
그는 “올해 은행의 이자수익이 60조원 수준에 달해 역대 최고 수준일 것텐데 3분기 영업이익을 비교하면 삼성전자·LG전자·현대자동차를 다 합친 것보다도 크다”며 “과연 (은행들이) 반도체·자동차와 비교해 어떤 혁신을 했길래 60조원의 이자 이익을 거둘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