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탁결제원은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활성화를 위해 기초시장인 환매조건부채권(RP·레포) 시장 종합금리정보를 제공한다.
예탁원은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시장 참가자와 정책 당국 등 시장 수요에 맞춰 분석·가공한 RP 시장 종합금리정보 제공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KOFR은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를 대체하기 고안됐다. 2012년 담합 사건 이후 폐지된 리보(Libor·런던 은행 간 금리)를 대체하기 위해 영국과 미국 등은 무위험지표금리(RFR)를 개발해왔다.
RFR은 무위험 투자에서 기대할 수 있는 이론적 이자율로, 신용과 유동성 위험이 배제된 상태에서 평균 자금 조달 비용을 뜻한다. 예탁원은 2021년부터 국채·통안증권을 담보로 하는 익일물 RP 금리를 사용해 대체 금리인 KOFR을 산출해 공시하고 있다.
정종문 예탁원 KOFR 사무국장은 "CD 금리는 호가 기반이라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며 "레포는 거래량이나 참가자 등의 영향이 해소돼 있어 관련 내용을 시장에 공유한다면 더 투명하고 효율적인 시장으로 변화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탁원은 'KOFR 기초시장 종합금리정보' 서비스를 통해 KOFR·콜·CD·기업어음(CP)·국고채 금리 추이와 변동성 분석 자료, RP 시장 참가자별 결제 규모와 금리 수준, 레고랜드 사태와 같은 국내외 이벤트 발생 시 RP 시장 금리와 거래량 변동, KOFR 금리 추세와 변동성 등 정보를 내년 11월께 정식 제공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