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내년 사업계획을 논의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고 복합 위기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선다. 글로벌 복합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사업전략 구상과 신성장동력 논의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14일 삼성전자는 전사와 모바일경험(MX)사업부를 시작으로 부문별로 순차적 글로벌 전략회의에 돌입했다. 15일에는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DA)사업부, 19일에는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회의를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국내외 임원급이 모여 사업 부문별·지역별로 현안을 공유하고 내년 사업 목표와 영업 전략 등에 대해 마라톤식 토론을 이어간다. 14·15일 DX(디바이스경험) 회의에 200여 명, DS 회의에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인사에서 유임된 삼성전자 최고경영자(CEO) 한종희 DX부문장(부회장)과 경계현 DS부문장(사장)이 각각 회의를 주관한다. 이재용 회장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회의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추후 사업전략 등을 보고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삼성전자가 단행한 조기 인사와 대대적인 조직 개편 등을 미루어 볼 때 이번 전략회의는 글로벌 불확실성 타개 방안 마련과 신성장동력 확보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정기 인사를 예년보다 일주일 이상 앞당겨 단행했다. 속도감 있게 조직을 재정비해 내년을 기민하게 대비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인사 키워드도 '안정 속 변화'로 요약된다. 한종희·경계현 '투톱 체제'를 유지하되 신사업 발굴을 위한 조직 개편을 병행하며 기술경영 확대 의지를 보였다.
대표이사 직속으로 '미래사업기획단'을 신설해 중장기적인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나서는가 하면 DS부문에는 소재부품센터를 신설하고 시스템LSI 사업부를 △시스템온칩(SoC)사업팀 △LSI사업팀 △이미지센서사업팀 등 3개 사업팀 체제로 전환했다. 202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1위를 차지한다는 목표 달성 노력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DX부문에선 '비즈니스 개발 그룹'을 신설했다. MX·VD·DA사업부에서 신사업 발굴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이 이처럼 신성장동력 발굴에 힘쓰는 까닭은 기존 사업만으로는 성장동력 유지가 힘들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높고, 수요 둔화가 더해지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본 것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R&D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삼성전자 누적 R&D 투자 비용은 20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대로라면 지난해 최대 규모였던 24조9000억원도 넘어설 전망이다.
글로벌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대응, 반도체 업황 반등 대비책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반도체와 생활가전 등 주력 사업부가 실적 하락을 겪으며 내년에는 타개안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재고 건전화와 반도체 부문 신규 수주 확대 방안, 중장기 기술 개발 로드맵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진 때인 만큼 삼성전자는 내년 경영 계획을 빠르게 수립하려는 모습"이라며 "과거 이건희 선대 회장이 5대 신수종 사업을 발굴했듯 이재용 회장도 신수종 사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14일 삼성전자는 전사와 모바일경험(MX)사업부를 시작으로 부문별로 순차적 글로벌 전략회의에 돌입했다. 15일에는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DA)사업부, 19일에는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회의를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국내외 임원급이 모여 사업 부문별·지역별로 현안을 공유하고 내년 사업 목표와 영업 전략 등에 대해 마라톤식 토론을 이어간다. 14·15일 DX(디바이스경험) 회의에 200여 명, DS 회의에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인사에서 유임된 삼성전자 최고경영자(CEO) 한종희 DX부문장(부회장)과 경계현 DS부문장(사장)이 각각 회의를 주관한다. 이재용 회장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회의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추후 사업전략 등을 보고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정기 인사를 예년보다 일주일 이상 앞당겨 단행했다. 속도감 있게 조직을 재정비해 내년을 기민하게 대비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인사 키워드도 '안정 속 변화'로 요약된다. 한종희·경계현 '투톱 체제'를 유지하되 신사업 발굴을 위한 조직 개편을 병행하며 기술경영 확대 의지를 보였다.
대표이사 직속으로 '미래사업기획단'을 신설해 중장기적인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나서는가 하면 DS부문에는 소재부품센터를 신설하고 시스템LSI 사업부를 △시스템온칩(SoC)사업팀 △LSI사업팀 △이미지센서사업팀 등 3개 사업팀 체제로 전환했다. 202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1위를 차지한다는 목표 달성 노력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DX부문에선 '비즈니스 개발 그룹'을 신설했다. MX·VD·DA사업부에서 신사업 발굴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이 이처럼 신성장동력 발굴에 힘쓰는 까닭은 기존 사업만으로는 성장동력 유지가 힘들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높고, 수요 둔화가 더해지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본 것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R&D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삼성전자 누적 R&D 투자 비용은 20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대로라면 지난해 최대 규모였던 24조9000억원도 넘어설 전망이다.
글로벌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대응, 반도체 업황 반등 대비책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반도체와 생활가전 등 주력 사업부가 실적 하락을 겪으며 내년에는 타개안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재고 건전화와 반도체 부문 신규 수주 확대 방안, 중장기 기술 개발 로드맵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진 때인 만큼 삼성전자는 내년 경영 계획을 빠르게 수립하려는 모습"이라며 "과거 이건희 선대 회장이 5대 신수종 사업을 발굴했듯 이재용 회장도 신수종 사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