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총선용 핀셋 개각'으로 불과 3개월 만에 산업통상자원부 수장이 바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 후보자는 1년 반 가까이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재직한 데다 내부 승진 인사로 부처 내부 사정을 꿰뚫고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안 후보자가 산업이나 에너지 정책 분야 이력이 전무하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원전 생태계 정상화 등 친원전 정책 이행을 위해 속도를 내야 하는 데다 막대한 적자에 시달리는 한국전력 부채 해소 등 당장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하기 때문이다.
산업부 수장 석 달 만에 교체...경제 안보 업무 연속성↑
윤 대통령은 지난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명했다. 앞서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경제부처 중심으로 단행한 1차 개각에 이어 두 번째 인사를 단행한 것이다. 지난 9월 취임한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여권의 총선 출마 요구에 따라 장관직을 내려놓는다.
안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의 첫 통상 사령탑으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미국 반도체 보조금 등 주요 산업·통상 현안을 다뤄왔다. 굵직한 이슈가 터질 때마다 안 후보자는 국내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우리 업계 입장을 적극 반영하는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등 곳곳에서 통상 이슈가 발생하고 있어 국제통상·경제 전문가인 안 후보자가 산업부 수장이 되면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산업부 관계자는 "보호무역주의가 심화하면서 부처 내에서는 통상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됐다"며 "그동안 통상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내왔기 때문에 내부에선 (안 후보자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안 후보자가 외부 인사가 아닌 산업부 내부에서 발탁된 인물이라는 점도 경제 안보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취임 초기 산업부 업무를 파악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데다 각종 현안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에서 함께 업무하며 손발을 맞춰온 만큼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기대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안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의 첫 통상 사령탑으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미국 반도체 보조금 등 주요 산업·통상 현안을 다뤄왔다. 굵직한 이슈가 터질 때마다 안 후보자는 국내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우리 업계 입장을 적극 반영하는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안 후보자가 외부 인사가 아닌 산업부 내부에서 발탁된 인물이라는 점도 경제 안보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취임 초기 산업부 업무를 파악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데다 각종 현안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에서 함께 업무하며 손발을 맞춰온 만큼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기대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산업·에너지 정책 경험 無...원전 등 정책 추진력 보여줄까
다만 우려스러운 부분도 있다. 안 후보자가 그동안 통상 분야만 전담해온 만큼 원전 등 에너지 정책에서 추진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특히 정부가 최근 탈원전 정책 폐기와 원전 생태계 활성화 등 국정과제인 '친원전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어 어느때보다 주무부처인 산업부 역할이 중요하다. 2029년까지가 운영 허가 기간인 원전 10기의 계속운전부터 신규 원전 건설, 원전 10기 수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 시설 도입을 위한 법 마련까지 남은 과제가 쌓여있다.
아울러 역대급 적자에 시달리는 한국전력의 재무 위기를 해결하고, 전기·가스요금 조정 등 난제도 산적하다. 앞서 방 장관이 올 겨울에는 전기·가스요금 동결 입장을 분명히 한 만큼 당장 요금 인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에너지 요금 현실화를 통한 재원 확보가 시급한 만큼 언제, 어떻게 할 지 고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또한 14개월 만에 겨우 적자 늪에서 빠져나와 '플러스' 전환에 성공한 수출 상승세를 유지하는 것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특히 한국 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높아 주무부처인 산업부가 각종 지원책과 규제 해소에 힘써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 후보자가 통상 전문가라는 점이 양면성을 갖는다"며 "에너지나 산업 분야 업무를 한 경험이 없는 만큼 더 강단있게 정책을 추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역대급 적자에 시달리는 한국전력의 재무 위기를 해결하고, 전기·가스요금 조정 등 난제도 산적하다. 앞서 방 장관이 올 겨울에는 전기·가스요금 동결 입장을 분명히 한 만큼 당장 요금 인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에너지 요금 현실화를 통한 재원 확보가 시급한 만큼 언제, 어떻게 할 지 고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또한 14개월 만에 겨우 적자 늪에서 빠져나와 '플러스' 전환에 성공한 수출 상승세를 유지하는 것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특히 한국 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높아 주무부처인 산업부가 각종 지원책과 규제 해소에 힘써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 후보자가 통상 전문가라는 점이 양면성을 갖는다"며 "에너지나 산업 분야 업무를 한 경험이 없는 만큼 더 강단있게 정책을 추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