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선호도, 주요 국가서 3위…대만·인도네시아는 1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3-12-22 13: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해외 OTT 시청 현황 출처방송통신위원회
해외 OTT 시청 현황 [출처=방송통신위원회]
해외 시청자들이 최근 1년간 시청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서 한국 콘텐츠가 세 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해외 OTT 이용행태 및 시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국, 일본, 멕시코, 브라질 등 4개국 시청자들은 모두 OTT에서 자국과 미국 콘텐츠 다음으로 한국 콘텐츠를 많이 시청했다.
 
영국인들은 최근 1년간 시청한 영상 콘텐츠 제작 국가로 영국(92.1%), 미국(77.4%), 한국(42.5%) 등을 꼽았다. 일본 시청자들도 같은 질문에 일본(89.5%), 미국(58.3%), 한국(41.3%)의 순으로 답했다. 멕시코(멕시코 91.9%, 미국 76.7%, 한국 61.8%)와 브라질(브라질 88.5%, 미국 78.6%, 한국 50.0%)에서는 한국 콘텐츠 시청 비중이 영국·일본보다 높았다.
 
영국은 유료 OTT 이용률이 70%로 높고 중복 가입(4.1개)도 많아 OTT 시장이 사실상 포화 상태다. 일본은 한 번 가입하면 해지하는 비율(54.9%)이 낮아 다른 OTT로의 전환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각각 분석됐다. 멕시코와 브라질은 OTT를 가족과 함께 시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족 소재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만과 인도네시아는 한국(K)-콘텐츠를 자국 콘텐츠보다도 많이 시청한 것은 물론 K팝을 비롯한 한국 문화 전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에서는 한국 드라마가 다양한 주제와 빠른 전개로 꾸준히 인기를 끌었다. 로맨틱 코미디와 범죄, 현대극 등의 장르를 선호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같은 장르의 한국 드라마를 주로 시청했다.
 
대만은 우회 서비스를 이용한 불법 콘텐츠 이용률(81.1%)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와 29.7세라는 낮은 평균 연령으로 OTT 산업 발전 잠재력이 크지만, 낮은 구매력으로 무료 시청을 선호했다. 따라서 광고 기반 요금제 등을 통한 시장 진출 가능성이 크다고 방통위는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