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해외 OTT 이용행태 및 시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국, 일본, 멕시코, 브라질 등 4개국 시청자들은 모두 OTT에서 자국과 미국 콘텐츠 다음으로 한국 콘텐츠를 많이 시청했다.
영국인들은 최근 1년간 시청한 영상 콘텐츠 제작 국가로 영국(92.1%), 미국(77.4%), 한국(42.5%) 등을 꼽았다. 일본 시청자들도 같은 질문에 일본(89.5%), 미국(58.3%), 한국(41.3%)의 순으로 답했다. 멕시코(멕시코 91.9%, 미국 76.7%, 한국 61.8%)와 브라질(브라질 88.5%, 미국 78.6%, 한국 50.0%)에서는 한국 콘텐츠 시청 비중이 영국·일본보다 높았다.
영국은 유료 OTT 이용률이 70%로 높고 중복 가입(4.1개)도 많아 OTT 시장이 사실상 포화 상태다. 일본은 한 번 가입하면 해지하는 비율(54.9%)이 낮아 다른 OTT로의 전환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각각 분석됐다. 멕시코와 브라질은 OTT를 가족과 함께 시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족 소재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만에서는 한국 드라마가 다양한 주제와 빠른 전개로 꾸준히 인기를 끌었다. 로맨틱 코미디와 범죄, 현대극 등의 장르를 선호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같은 장르의 한국 드라마를 주로 시청했다.
대만은 우회 서비스를 이용한 불법 콘텐츠 이용률(81.1%)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와 29.7세라는 낮은 평균 연령으로 OTT 산업 발전 잠재력이 크지만, 낮은 구매력으로 무료 시청을 선호했다. 따라서 광고 기반 요금제 등을 통한 시장 진출 가능성이 크다고 방통위는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