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하겠지만 고금리·고물가가 발목을 잡으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2%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상반기까지 3%대 고물가가 유지되겠지만 하반기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며 2%대로 내려오겠다고 예상했다. 정부는 4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경기도 용인 중소기업인력개발원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국내총생산(GDP)이 2.2% 성장할 것으로 봤다. 지난해 7월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제시한 2.4%보다는 0.2%포인트 하향 조정한 수치다. 지난해 성장률이 1.4%에 그쳤던 기저효과를 고려할 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장률이다. 올해 물가 역시 지난해보다는 상승세가 둔화되겠지만 상반기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서민 체감경기 회복을 저해할 전망이다. 정부는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에도 대외적으로 지정학적 위험과 글로벌 분절화가 심화되고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성장 둔화가 우리 경기의 회복세를 제약할 것으로 봤다. 윤 대통령은 "올해도 정부는 민생을 안정시키고, 기업이 역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더 과감하게 규제를 풀겠다"고 의지를 표명했지만 작년 말부터 연초까지 이어지고 있는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사태 등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과 가계부채·한계기업의 증가 등 우리 경제를 위협할 요인들로부터 제대로 벗어날 수 있을지 있을지 걱정스럽다. 민생을 안정시키고, 기업의 역동성을 살리겠다는 정부의 바람이 제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져 국민과 기업이 모두 웃을 수 있는 한 해로 기억되길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