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집값이 서울 평균보다 2배 이상 하락하면서 강남3구와 가격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3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2022년말 대비 2.95% 떨어졌다. 주로 중저가 아파트 밀집지역인 동북권과 서남권 외곽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도봉 -8.95% △관악-8.56% △강북 -7.58% △구로 -7.33% △노원 -6.98% 순으로 낙폭이 컸다.
2022년 서울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빠졌던 송파구는 지난해 빠른 가격 회복세를 보이며 유일하게 2.52% 상승 전환했다. 잠실 대표 아파트인 잠실엘스·리센츠·트리지움 등이 시세를 주도한 가운데 안전진단을 통과한 올림픽 3대장(올림픽선수기자촌·올림픽훼밀리타운·아시아선수촌) 아파트와 잠실주공5단지 등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가격 상승을 뒷받침했다.
‘노도강’·‘금관구’ 지역은 지난해 고금리 기조로 인한 이자 상환부담에 급매물이 늘면서 하락거래 비중이 타지역에 비해 높았다. 또 50년 주택담보대출·특례보금자리론 등의 대출완화정책이 종료되면서 4분기 거래 위축과 매매가격 하락폭이 다시 확대됐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고가시장은 이미 대출규제가 촘촘해 대출요건이 강화되더라도 매매가에 영향을 덜 받는 반면, 중저가 시장은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되면 매수세와 집값에 탄력적으로 반응해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딘 상황에서 지역 간 집값 양극화가 심화함에 따라 서울의 주거 상향 이동과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 움직임이 당분간 주춤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