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함탑재정찰용·서북도서용 무인항공기 운용 개념도.[사진=방위사업청]
우리 군이 해군 함정과 서북도서에 배치될 무인항공기 체계개발에 첫발을 내디뎠다. 북한의 군사 도발 징후를 조기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방위사업청은 29일 “함탑재정찰용·서북도서용 무인항공기 체계개발 사업을 2023년 12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약 1433억원을 투입해 한화시스템 주관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무인항공기의 양산까지 포함한 총 사업비는 약 5500억원이다. 개발된 무인항공기 투입 시기는 2031년으로 예상된다. 방사청은 지난해 3월 제15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어 함탑재정찰용·서북도서용 무인항공기 사업 등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탑재용과 연평도·백령도 등 서북도서에 배치될 무인기는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된다. 구축함 탑재용의 경우 기존 구축함에 들어가던 ‘링스’ 해상작전 헬기 2대 중 1대를 줄인 자리에 배치해 유·무인 복합체계 형태로 운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찰 임무를 수행할 해당 무인항공기는 국내 최초로 개발하는 회전익 형상 무인기다. 활주로가 없는 육지나 함정에서 운용 가능하다. 가시광선을 활용해 지상을 직접 촬영하는 고성능 광학·적외선(EO·IR) 카메라와 다기능레이다가 탑재됐다. 이에 따라 날씨 등 운용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감시·정찰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향후 이 무인항공기가 배치될 서북도서는 북한의 도발이 지속돼 온 곳이다. 방사청은 “개발될 무인항공기의 광학·적외선 카메라와 레이다를 동시에 활용해 서북도서 전방의 정찰 범위를 넓히고 24시간 감시해 적이나 주변국의 도발 징후를 조기에 식별하고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군은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서북도서 감시가 절실하다며 무인기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군의 작전요구성능(ROC)을 충족하는 기종이 없어 지연돼 왔다. 해병대에 필요한 무인항공기는 활주로가 마땅하지 않은 섬 일대에서 수직이·착륙이 가능하고 바람과 해무에도 견뎌야 했다. 하지만 해외 기종들도 해당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에 군은 국내연구 개발로 서북도서용 무인항공기를 확보하기로 결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