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피해가 매년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1개월과 3개월에 6개월 전망을 추가해 연 4차례 제공하기로 했다. 또 가뭄 발생 시 농촌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저수지 등 인프라를 오는 2027년까지 확대 구축하기로 했다.
21일 행정안전부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농촌진흥청, 기상청 등 관계부처는 선제적으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2024년 가뭄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해 봄 국내에서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피해가 잇따랐다. 실제 작년 3월 광주·전남지역 1년 누적 강수량은 평년 대비 61%에 그쳤다. 이에 정부는 매년 가뭄 대비 종합대책을 마련해 시행 중으로 이번 대책은 연내 추진할 가뭄 관련 단기·중장기 과제를 담고 있다.
세부 안을 살펴보면 정부는 우선 영농기를 앞두고 모내기 물 부족이 우려되는 저수지 51개소에 912만㎥의 용수 공급에 나선다. 논 물마름과 밭작물 시듦과 같은 가뭄 우려 징후가 나타날 경우 관정, 간이양수장, 둠벙 등 수원확보, 양수기 구입 등 긴급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지자체도 자재와 물자 비축에 나선다. 가뭄 발생 시 유관기관 협조 체계를 사전에 구축하고 정부는 현장 컨설팅을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대비 대책 수립을 지원하도록 했다.
아울러 가뭄 대비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상 가뭄 6개월 전망 정보 서비스가 시행된다. 기존에는 1개월과 3개월 전망만 미뤄졌으나 앞으로는 연 4회 6개월 전망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와함께 기존 전국 단위의 가뭄 분포도를 10개 권역별로 나눠 가뭄 분포도를 생산하고, 읍면동 단위 농업가뭄 취약성을 평가하고 금강과 한강 권역 등을 중심으로 취약지도를 제작하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7년까지 저수지와 양수장 등 농촌용수 개발 사업 85개 지구를 2027년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또 노후 상수관 정비를 통한 누수 저감 등 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올 연말까지 123개소 추진한다.
이와함께 소규모 양수장을 통폐합해 신규 수원 개발 전 기존 시설의 여유량을 물 부족 지역에 우선 공급하고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을 통해 지자체 가뭄 대비 대책 수립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한 노후화로 개선이 필요한 저수지에 다목적 계측시설을 설치하고 빅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가뭄 예측 기술을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달 강수량과 용수 저장량은 정상으로 관리되고 있다. 기상가뭄 역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최근 기후변화로 강수량의 지역 편차가 커져 국지적인 가뭄 발생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정부는 지속적으로 가뭄 상황을 관리하고, 가뭄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국민이 안전하고 불편함 없이 생활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