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올해 전남 김 풍년 들고 수출도 잘 돼 "김이 효자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무안=박승호 기자
입력 2024-05-22 10:25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전남에서 올해 김이 풍년인데다 수출이 잘돼 어가에 큰 소득을 안겼다.

    특히 고효율 김 활성처리물질을 새로 개발해 무기산 사용을 근절하고, 안정적인 양식환경을 조성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박영채 전남도 친환경수산과장은 "올해 품질 좋은 김이 많이 생산돼 김 양식 어업인의 소득이 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등 김이 효자 품목이 됐다"며 "앞으로 신규 시책을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김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 8000억원 어치 40만 8000톤 생산...수출 3391억원

 
김 생산어민들이 김 활성처리제 검증실험을 하고 있다사진전라남도
김 생산어민들이 김 활성처리제 검증실험을 하고 있다.[사진=전라남도]


전남에서 올해 김이 풍년인데다 수출이 잘돼 어가에 큰 소득을 안겼다.

22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올해 전남에서 생산된 김이 40만8000톤으로 총 8000억원 어치다.

시군별로 보면 진도 2284억원, 고흥 2162억원, 완도 1320억원 순이다.
 
전국 김생산량 50만9000톤의 80%, 전국 생산액 9742억원의 82%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1만7000톤, 생산액은 3500억원 늘었다.
 
생산액이 늘어난 가장 큰 요인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 122개국으로 김 수출이 늘고 재고율 감소, 중국과 일본의 작황 부진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김 수출양은 1만612톤이고 벌어들인 외화는 3391억원에 이른다.
 
전남 고흥에서 김 양식을 하고 있는 조모씨(62)는 "올해는 날씨가 좋아서 김 농사가 잘됐다. 무척 다행이고 소득이 늘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광활한 김 양식 어장을 생산 초기 단계부터 본격 채취까지 불법 시설물의 강력한 단속과 일제 정비를 통해 적정 생산을 유도했다.
 
김 양식장 면적은 617㎢로 어류, 해조류, 패류 등 82개 양식품종 중 가장 넓은 면적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212배 규모다.
 
또 안정적 김 생산과 어가 소득 증대를 위해 김 육상채묘와 냉동망 시설 지원 등 8개 사업에 27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고효율 김 활성처리물질을 새로 개발해 무기산 사용을 근절하고, 안정적인 양식환경을 조성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박영채 전남도 친환경수산과장은 “올해 품질 좋은 김이 많이 생산돼 김 양식 어업인의 소득이 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등 김이 효자 품목이 됐다”며 “앞으로 신규 시책을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김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