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화성 아리셀 화재...안전 조치 미흡 질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연우 기자
입력 2024-06-28 15:57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여야 의원들은 28일 경기도 화성의 일차전지 업체 아리셀 화재 참사와 관련, 정부의 사전 예방조치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이날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의 현안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아리셀 외국인노동자 다수가 불법 파견된 데다, 한국어가 서툰 이들에게 사전 안전교육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은 "외국인 인력에 대한 안전 교육이 허술했던 게 드러났다"며 "외국인 노동자 채용을 늘리고 있지만, 산업 안전은 뒷전인 후진적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 참사"라고 비판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여야 환노위 현안 질의...안전교육 허술 지적

  • 사고대비 물질 매뉴얼 재점검 주문...전수조사 요구

28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8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야 의원들은 28일 경기도 화성의 일차전지 업체 아리셀 화재 참사와 관련, 정부의 사전 예방조치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이날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의 현안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아리셀 외국인노동자 다수가 불법 파견된 데다, 한국어가 서툰 이들에게 사전 안전교육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은 "외국인 인력에 대한 안전 교육이 허술했던 게 드러났다"며 "외국인 노동자 채용을 늘리고 있지만, 산업 안전은 뒷전인 후진적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 참사"라고 비판했다.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회사 이익을 많이 내려는 불법 파견 때문에 피해가 컸다"며 "대부분 일용직 파견 외국인 노동자였기 때문에 안전보건교육 자체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은 "리튬 배터리에 불이 나면 일반 소화기가 아닌 열을 빠르게 낮추는 D급 소화기를 사용해야 한다. D급 소화기 생산이 공인된 기관이 없어 사용 설명이 들쭉날쭉하다"며 환경부에 사고대비물질 매뉴얼 재점검을 주문했다.
 
김태선 민주당 의원은 "산업 안전보건 기준을 살펴보면 사업주는 위험물질 취급 작업장에 출입구 외에 비상구를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데, 아리셀에는 안 돼 있었다"며 "이런 사업장이 많은데 노동부가 전수 조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이 장관은 "공장 화재 사고가 반복되지 않게 위험성 평가 등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긴급 재점검하고 개선사항은 즉시 조처하겠다"며 "외국인 근로자 등 취약 근로자도 위험요인을 쉽게 이해하고 피할 수 있도록 안전문화의식을 확산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아리셀이 취급한 화학물질 중 리튬은 일반화학물질이지만 전지 전해액으로 사용된 염화싸이오닐과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수산화나트륨산은 유해화학물질이다.
 
한 장관은 "유해화학물질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주변 지역 대기오염 농도 모니터링을 상황 종료 시까지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