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기도교육청](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7/03/20240703151053129319.jpg)
이번 협의회는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으며 제2부교육감, 정책기획관, 교육행정국장, 인재개발국장, 직속기관장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직속기관은 ‘경기도교육청 행정기구 설치조례’에 따른 경기도교육청 산하기관이다.
경기교육 정책 추진 방향에 따라 조직과 기능이 부여되며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정책 추진과 교육활동으로 학교 안과 밖 교육을 지원하고 교육구성원의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
협의회에서는 21개 직속기관의 경기교육 정책 연계 추진 사항을 공유하고 직속기관 역할 강화 방안에 대해 자유 토론을 진행했다.
경기의정부교육도서관에서는 ‘말ᄊᆞ미 공유학교’, 학교 밖 교육 지원‘미디어 창작공간’에서 학생들의 디지털 문해력을 키운 교육활동을 발표했다.
또 7월 1일자로 4.16민주시민교육원이 ‘경기도교육청4.16생명안전교육원'으로 기관명과 기능이 변경됨에 따라 기억교실 탐방, 생명안전교육, 시민교육 프로그램 등 중점 과제 계획을 공유했다.
이어 자유 토론에서는 직속기관 간 소통을 활성화하고 지역 유관기관 업무협약 체결, 소통 정담회 등 지역교육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직속기관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기관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며 경기교육 실현을 위한 중요한 축으로서 직속기관 역할을 강화하는 데 뜻을 모았다.
도교육청 서혜정 정책기획관은 “경기교육의 변화, 기회, 도전을 위해 직속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라며 “직속기관의 교육적 역량과 교육자원은 경기교육의 동력으로, 지역 및 기관 간 협력으로 교육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해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직속기관의 역할 강화를 위해 소통하며 현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