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내 산업 영업실적이 개선되겠지만 반도체 등 수출업종을 중심으로 성장세는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반도체 등 우리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품목에 대한 성장 둔화 압력이 커질 것이란 분석이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20일 '2025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는 금리, 환율, 원자재 등 거시경제 여건이 안정되는 가운데 반도체, 조선 등 주요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가 늘어나며 내년 국내 산업의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고령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시장의 수요가 둔화되면서 성장세는 올해보다 약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 인하에 따라 실질 구매력이 개선되고 소비심리가 살아나면서 올해 부진했던 내수·서비스 업종은 소폭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 수요 약화와 기저효과로 수출 성장률은 올해보다 하락하며 반도체 등 수출업종을 중심으로 성장 둔화 압력이 증대될 것으로 분석했다.
주요 산업별로는 반도체, 이차전지, 통신, 소매유통 등은 실적 개선을 예상했다. 그러나 자동차, 해운, 정유 등은 성장세가 둔화되고 철강, 석유화학, 건설 등은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내년 핵심 이슈로는 '저성장이 불러온 불편한 손님, 양극화'를 꼽았다. 팬데믹 이후 국내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과거보다 심화됐는데 성장 기회가 있는 일부 분야에 자본과 인력이 집중되면서 사회 전반에 양극화가 확대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산업, 기업, 소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으며, 이는 곧 전반적인 경제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오유진 연구위원은 "저출산 대책 강화, 고른 성장을 위한 중소·중견기업 지원 확대, 신성장 동력 발굴 등 산업·기업 간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소는 미국 대선에 따른 국내 산업 영향 분석 결과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한다면 친환경 에너지, 공급망 재편, 무역정책 등에서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 이차전지, 철강, 태양광,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산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김남훈 연구위원은 "2025년 국내 산업은 전반적으로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업종별, 기업 규모별로 양극화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