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인프라 부족과 인력난으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리려면 단일 행정구역을 넘어 광역 단위에서 신기술·신사업 모델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도록 파격적 제도혁신이 필요합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은 2일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전국상공회의소 회장 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광역 단위의 모빌리티 특화 지역을 선정해 무인운전·배달·순찰 등 자율주행 관련 모든 규제를 풀어주고, 시설 인프라와 정주여건까지 조성한다면 지역 생태계가 크게 활성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최 회장과 홍준표 대구시장,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 박윤경 대구상의 회장 등 전국 56개 상공회의소 회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저출생·고령화,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 복합적인 경제 위기 상황에서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회장단은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광역 단위의 미래 전략 산업을 특화 지원하는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제안했다.
메가샌드박스는 대구·경북, 강원, 충청 등 광역 단위 지역을 중심으로 첨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규제를 유예하고 교육·인력·연구개발(R&D) 및 인프라를 통합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AI, 첨단 모빌리티 등 신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목표다.
박형곤 딜로이트 파트너는 이날 메가샌드박스 모델 발표에서 "단순히 규제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 경제 전반의 혁신을 도모하는 새로운 접근"이라며 "신기술과 신사업을 활성화할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 간 성장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동석 경북대 교수는 "대구는 교통·인프라와 정책적 여건을 갖추고 있어 첨단 모빌리티 도시로 도약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를 위해 기업 투자와 제도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민간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며 민간 주도형 지역 정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철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은 "대구는 소부장 중심의 제조업 생태계가 잘 구축돼 있어 AI와 모빌리티 전환을 시도하기에 최적지"라며 "규제 해소와 인프라 조성이 맞물리면 새로운 지역 발전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전국상의는 국회와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와 글로벌협력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상법·자본시장법 등 국회 현안에 적극 대응하고, 글로벌 공급망 변화 관련 정보도 전국상의 회원과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 경주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는 것이 상공인의 역할”이라며 “메가샌드박스 도입과 공동 대응을 통해 지역 경제의 돌파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