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의 노력 덕분에 틱톡이 미국에 돌아왔습니다!"
이른바 ‘틱톡 금지법’ 시행을 약 3시간 앞두고 자체적으로 앱 운영 중단에 나섰던 틱톡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구제 가능성 시사에 19일(현지시간) 서비스를 재개하면서 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전한 메시지다. '틱톡 구제'에 나선 트럼프에 대한 화답이기도 하지만, 향후 협상을 잘 풀어나가기 위해 틱톡의 운명이 트럼프의 손에 달렸음을 강조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사실 틱톡이 금지법 발효 전 미리 서비스 중단에 나선 것 자체가 충성 이용자들의 반발심을 자극하기 위한 전략이었고, 트럼프가 구제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이같은 전략이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잠깐이지만 틱톡은 충성 이용자들에게 앱(틱톡)이 없는 세상이 어떨지 생생하게 보여줬다"면서 "몇 시간 만에 트럼프가 뛰어들면서 적어도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상황이 일시적으로 마련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트럼프가 실제로 틱톡 퇴출을 막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날 트럼프가 제시한 구제 방안도 모호하다는 평가다. 트럼프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 취임일인 20일 틱톡 금지법에 명시된 틱톡 미국 사업권의 매각 기간을 늘리는 행정명령을 낼 것이라면서 '틱톡 구제'에 뛰어들 것을 확실히 한 뒤 "나는 미국이 (틱톡과의) 합작 투자에서 50%의 소유권을 원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문제는 합작 투자가 틱톡 금지법에 명시된 의무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NYT는 이번 구제안은 정치적 성격이 훨씬 강하다면서 틱톡이 미국 기업과 합작 기업으로 다시 설립된다고 해도 바이트댄스가 틱톡 알고리즘의 소유자이자 개발자로 남아 있고, 그 알고리즘이 중국 엔지니어에 의해 중국에서 구동된다면 법안이 제정된 이유인 국가 안보 우려를 전혀 해결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매각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도 걸림돌이다. 트럼프가 합작 투자를 제안한 것도 이 때문으로 최근에는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가 합병 제안서를 보냈기도 했지만, 바이트댄스는 아직 어떠한 입장도 내놓지 않았다.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바이트댄스 관계자들을 인용해 바이트댄스는 틱톡 매각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바이트댄스가 틱톡 매각을 원한다고 해도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20년 8월 28일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수출 금지·제한 대상 기술 목록' 수정안에 따르면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정보 제공 서비스 및 기술 등은 수출통제 대상이다. 실제 '트럼프 1기' 시절이었던 2020년 미 법원이 제동을 걸면서 무산되긴 했으나 트럼프가 바이트댄스에 틱톡을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할 것을 요구했고, 바이트댄스는 당시 베이징 상무부에 틱톡 매각 승인을 요청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