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에 추가 관세 부과로 무역 관세 전쟁이 시작됐다며 정부에 경제전권대사 임명을 비롯한 추경 편성을 촉구했다.
김동연 지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올린 글에서 "우려했던 관세전쟁이 시작됐다. 미국이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상대국은 보복관세로 맞서고 있다"며 "예고된 ‘발등의 불’이다. 우리 수출기업에는 당장 비상이 걸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1월, ‘트럼프 2기 비상 대응체제’즉시 가동을 제안한 바 있다. 다시 한번 촉구한다"며 "‘수출방파제’ 즉시 구축. ‘경제전권대사’ 여·야·정 합의로 조속히 임명. ‘추경편성’ 하루빨리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이어 "최상목 권한대행은 부랴부랴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 점검 지시를 내렸다. 예견된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지 않은 정부의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이제라도 비상한 각오로 대응하자"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끝으로 "제때 대응하지 못하면 세계경제지도에서 대한민국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며 "지금은 여·야·정이 기 싸움할 때가 아니다. 한마음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지난달 2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경제의 시간’을 더 낭비해서는 안 된다"며 선별 지원 방식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하자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정부가 검토하기로 한 만큼 즉각 국정협의회를 가동하고 첫 의제로 ‘슈퍼민생추경’을 논의하자"며 "민생 현장은 한시가 급하다. 설 전에 합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생경제 지원, 미래 먹거리 투자, 민생회복지원금 등에 최대한 빨리, 최대한 크게 투자하자"며 "민생회복지원금은 전 국민 지원 방식이 아니라 선별지원이 더 효과적"이라고 단언했다.
앞서, 김 지사는 신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50조원 슈퍼추경과 트럼프 2기 대응, 국내기업에 대한 투자지원 등 담은 ‘대한민국 비상 경영 3대 조치’를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제 우리 경제는 ‘1% 경제’라는 말이 상징어가 돼 버렸다.경제성장률, 수출 증가율, 민간소비 증가율 모두 1%대로 ‘경제 퍼펙트스톰’이 현실이 되고 있다"며 "‘트럼프 쇼크’에 잘 대응하지 못하면 대한민국은 10년 안에 세계경제지도에서 사라질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지난해 12월 ‘30조 원 이상 추경’을 강력히 주장했는데, 50조 원까지 늘려야 한다”며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민생 경제에 최소 15조 원 이상, 취약 계층을 더 두텁고 촘촘하게 지원하는 민생회복지원금에 최소 10조 원 이상, 미래 먹거리에 최소 15조 원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