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는 정치세력이 다 같이 내각에 참여해 대한민국을 전체적으로 대개조해나갈 수 있는 국정운영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는 보수진영 정치인들도 예외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친노'(친노무현)이자 '친문'(친문재인) 적자로 불리는 김 전 지사는 16일 MBN '정운갑의 집중분석'에 출연해 '당내 통합 범위를 어디까지 해야 하는 것이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4기 민주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지금의 둘로 갈라진 갈등을 모아내고 통합하는 성공한 민주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김 전 지사는 "지금 시기는 탄핵연대를 폭넓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2017년 탄핵 촛불혁명으로 집권한 문재인 전 대통령도 야당과 협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시 문 전 대통령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유승민 전 의원, 노회찬·심상정 전 정의당 의원, 김성식 전 국민의당 의원에게까지도 내각 참여를 제안했으나, 하나도 성사가 안 됐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이번에는 정권이 바뀔 경우 구성될 인수위 성격의 위원회에 탄핵 찬성 세력이 다 같이 참여해 정책을 협의해야 한다"며 "각 정책 부문을 책임지겠다고 밝히는 정당은 내각에도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 '한국형 연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13일 이재명 대표와의 회동에서 이 내용을 충분히 설명해 드렸다"며 "이 대표도 '잘 검토해보겠다'고 하셨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개헌과 함께 '대통령실 문제'를 시급한 현안으로 꼽았다. 김 전 지사는 "(대선 후) 대통령실이 다시 청와대로 가기도 애매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자면 세종시로 행정수도를 완전히 이전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게 맞지 않겠나"라며 "이것 역시 개헌(으로 추진해야 할) 문제일 수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