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코, 개관 이래 최고 성적표…전시장 가동률ㆍ방문객수 '껑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구미=김규남 기자
입력 2025-02-18 16: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24년 전시장 가동률 52.3% 달성, 전년 대비 105% 증가

  • 방문객 19만8222명으로 전년 대비 79.4% 증가

구미코에서 개최된 2024년 박정희 대통령 탄신 107돌 문화행사 모습 사진구미시
구미코에서 개최된 2024년 박정희 대통령 탄신 107돌 문화행사 진행 모습. [사진=구미시]
경북 구미시의 제2의 도약에 구미디지털전자산업관(구미코)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구미시는 구미디지털전자산업관(구미코)이 2024년 전시장 가동률 52.3%, 회의실 가동률 46.8%를 기록하며 개관 이래 최고 성과를 달성했다. 방문객 수는 19만8222명으로, 코로나19(202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전시장 가동률 105% 증가(2023년 25.5%), 회의실 가동률 25.5% 상승(2023년 37.3%), 방문객 79.4% 증가(2023년 11만521명)한 수치다. 코로나19 이후 침체됐던 전시장 및 회의실 운영이 회복을 넘어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
 
구미코의 전시장 가동률은 2019년 25.9%에서 2020년 11.8%, 2021년 13.9%까지 하락했으나, 2022년부터 회복세를 보이며 2024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산업·공공·문화 행사의 적극적인 유치와 시민 친화적 콘텐츠 기획을 통해 소규모 컨벤션센터의 한계를 극복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경북 구미 강소연구개발특구 테크페어 △2024 항공방위물류박람회 △대구경북이업종융합대전 등 지역 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 전시는 물론 △국회의원선거개표 △전국기능경기대회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24년 국내학술대회 △2024 대한민국펫캉스 △구미코 썸머 페스티벌 등 공적·학술·문화 행사를 기획·유치하며 방문객 증가를 이끌었다.
 
개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용도지역 변경도 올해 1월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구미코는 ‘일반공업지역’에 건립돼 건축물의 용도가 박람회장 및 산업전시장으로만 활용이 가능했다. 이를 개선코자 개관 시부터 용도지역 변경 문제를 논의해 왔으나, 본격적인 추진은 2020년부터였다.

유관 기관과의 협의로 진전이 되는 듯했으나,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산업집적법) 제33조'에 따른 지가상승분 기부 조항으로 인해 약 200억원의 부담이 걸림돌이 됐다.
 
이에 구자근 국회의원(구미시 갑)이 2023년 1월 '산업집적법' 개정을 주도해 국가·지자체·산업단지 관리 기관이 직접 시행하는 사업의 지가상승분 납부를 면제하는 조항을 신설했다. 이후 구미시는 부담을 해소하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의 재 협의를 거쳐 2024년 11월 다시 용도지역 변경 신청을 제출했으며, 2025년 1월 22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번 승인으로 구미코는 ‘준공업지역’으로 변경돼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 활용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공연장·극장·예식장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 시설(카페·편의점) 유치와 대중 가수 공연, 체험형 놀이 시설 운영 등 활용도가 대폭 확대됐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구자근 의원의 도움으로 용도지역 변경을 달성했고, 이를 바탕으로 올해도 역대 최고 실적을 넘어설 것”이라며 “구미코가 지역 발전을 선도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 시민들에게 더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