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김 의원은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김 의원을 비롯해 김예지·서일준·박덕흠·이인선·조지연·최형두·박준태·이상휘·우재준·조정훈·강승규 의원이 서명했다.
개정안에는 근로자성을 엄격히 요구했던 현행법이 수정돼 프리랜서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 누구나 직장 내 괴롭힘의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 될 수 있도록 했다. 개정안이 처리되면 오요안나와 같이 근로기준법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프리랜서들도 법의 보호를 받게 된다.
또한 개정안에는 직장 내 괴롭힘 조사를 위한 조사위원회에 피해자가 추천한 인사와 고용 노동부 장관이 추천하거나 파견하는 인사가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도록 해 피해자의 의사와 전문가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도록 했다.
아울러 직장 내 괴롭힘 신고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 조사 결과 신고 내용이 허위이고 신고자가 허위임을 알고도 악의적으로 신고한 것이 입증된 경우, 조사위원회가 신고자를 징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직장 내 괴롭힘 요건에 '지속적 또는 반복적'이라는 기준이 추가됐다.
김 의원은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들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업무 환경에서 근무하고 피해를 본 경우 신속한 조치를 통해 원상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정하고 원칙에 근거한 특별근로감독을 통해 고인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이 낱낱이 규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