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추경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허영 예산결산조정위원장, 진성준 정책위의장, 이정문 수석부의장. [사진=연합뉴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20일 여야정협의회 첫 회의를 앞두고 "추가경정예산(추경)은 때를 놓치면 효과가 반감되고, 피해는 국민에게 간다"며 국민의힘에 "대승적 차원에서 함께 해주길 당부한다"고 밝혔다.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여야정국정협의회 첫 회의가 오늘 오후 열린다"며 "내란으로 인한 국정혼란을 수습하고, 민생경제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진 정책위의장은 "(여야정국정협의회는) 함께 최소한의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며 "주요 의제들은 분명하다. 무엇보다 회복과 성장을 위한 추경 편성을 결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지난달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은 모두 최악이었다"며 "도소매업과 건설업 등 내수 부진 여파로 지난해 3분기 일자리 통계집계 후 최대폭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절벽에 고용절벽까지 (대한민국) 복합경제위기를 극복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추경 필요성은 모두가 인정한다"고 부연했다.
또 진 정책위의장은 "양당이 공감하는 시급한 민생입법과제들도 더는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그간 정책위의장 중심의 '민생공통공약 추진협의회'를 통해 합의된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노력했다"며 "어제(19일) 국회 산자위에서 에너지 3법 통과 등 실질적인 (입법 관련) 진전도 있다"고 전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기후위기, 연금개혁, 저출생 문제, 통상대책 등 어느 것 하나 가볍지 않은 문제들"이라며 "여야 지도부가 머리를 맞대는 만큼 첫 국정협의회에서 해결 방향이 제시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진 정책위의장은 이른바 '트럼프발 관세대책' 대응을 위해 "정부와 기업, 국회가 모든 경험을 총망라한 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며 "정부도 '경제사절단'을 파견한다고 하지만, 뒤늦은 출발인 만큼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 민주당이 제안한 국회 차원의 '통상특위'가 그래서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초당적 대응으로 총력 외교전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회와 정부가 함께 통상 총력전에 나서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여야정국정협의회 첫 회의가 오늘 오후 열린다"며 "내란으로 인한 국정혼란을 수습하고, 민생경제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진 정책위의장은 "(여야정국정협의회는) 함께 최소한의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며 "주요 의제들은 분명하다. 무엇보다 회복과 성장을 위한 추경 편성을 결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지난달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은 모두 최악이었다"며 "도소매업과 건설업 등 내수 부진 여파로 지난해 3분기 일자리 통계집계 후 최대폭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절벽에 고용절벽까지 (대한민국) 복합경제위기를 극복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추경 필요성은 모두가 인정한다"고 부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기후위기, 연금개혁, 저출생 문제, 통상대책 등 어느 것 하나 가볍지 않은 문제들"이라며 "여야 지도부가 머리를 맞대는 만큼 첫 국정협의회에서 해결 방향이 제시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진 정책위의장은 이른바 '트럼프발 관세대책' 대응을 위해 "정부와 기업, 국회가 모든 경험을 총망라한 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며 "정부도 '경제사절단'을 파견한다고 하지만, 뒤늦은 출발인 만큼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 민주당이 제안한 국회 차원의 '통상특위'가 그래서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초당적 대응으로 총력 외교전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회와 정부가 함께 통상 총력전에 나서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