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경찰의 이른바 '정치인 체포조' 가담과 국회 봉쇄 의혹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내란 사건과 관련해 24일 전창훈 경찰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담당관, 목현태 전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장을 각각 불러 조사 중이다.
검찰은 계엄 당시 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경찰 100명, 호송차 20대를 지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경찰관 10명의 명단을 전달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등을 체포하기 위해 합동 체포조를 편성한다는 설명을 듣고 명단을 전달했다는 내용이다.
검찰은 전 담당관이 계엄 당일 오후 11시 39분께 김경규 서울청 수사과장에게 전화해 '군과 합동수사본부를 차려야 하는데 국수본 자체적으로 인원이 안 되니 서울청 차원에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를 지원해줄 수 있느냐'고 물은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방첩사로부터 '체포' 이야기는 듣지 못했고, 길 안내를 지원할 경찰관 명단을 전달했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첫 압수수색에 이어 지난달 31일 전 담당관을 포함한 국수본 관계자들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했다.
검찰은 목 전 경비대장을 상대로는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 등의 국회의사당 출입을 막은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국회경비대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담화 직후 밤중에 국회 경내 외에 배치돼 국회 출입을 통제했다. 목 대장은 3일 오후 10시 46분, 11시 47분에 전면 통제를 실시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