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여전히 뜨겁다...강남·서초·용산 매주 최고가 경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윤섭 기자
입력 2025-04-06 15: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일대.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성동구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며 매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이후 거래는 감소세지만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을 밀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보면 2021년 6월 매매가를 기준점(100)으로 지난 3월 다섯째 주(3월 31일 기준) 서초구의 매매가격지수는 115.96을 나타냈다. 이는 2012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역대 최고치로, 집값 급등기였던 2021~2022년의 최고점(106.17)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강남구(112.43), 송파구(112.10), 용산구(108.18), 성동구(108.78) 등 선호 지역으로 꼽히는 곳들도 같은 통계에서 나란히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1~2022년 구별 최고점은 강남구 105.73, 송파구 105.36, 용산구 105.80, 성동구 102.13 등이다.

특히 강남·서초·용산구는 지난달 24일부터 구 전체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지정됐으나 상승 폭이 다소 둔화했을 뿐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송파구는 토허제 확대 지정 계획이 발표된 직후인 3월 넷째 주 0.03% 내리며 1년1개월여 만에 하락했으나 한 주 만에 바로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서울 전체 평균 매매가격지수가 99.64로, 2021~2022년 전고점(104.25)에 아직 못 미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이어지면서 해당 지역들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봤다. 토허제 확대 재지정으로 인해 거래량 감소는 불가피하지만, 집값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토허제 확대 재지정으로 인해 거래가 어려워지고, 수요 감소가 불가피한 만큼 거래량과 가격 상승 폭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다만 공급 감소, 기준금리 인하 등 가격 상승 요인이 여전한 데다 안전자산을 원하는 수요가 상당해 가격 하락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