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오는 18일 퇴임하는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헌법재판관에 대한 신변 보호를 퇴임 이후에도 이어갈 가능성을 밝혔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7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퇴임 이후에도 신변 보호를 할 예정”이라며 “당사자 의사도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다른 헌법재판관들에 대한 신변 보호 조치는 유지되고 있으며, 박 직무대리는 “해제 여부는 아직 시기상조이며 좀 더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 인근의 24시간 경비 체제도 당분간 유지된다. 현재 주간에는 4개 기동대, 야간에는 3개 기동대가 교대 근무 중이다. 경찰은 단계적으로 헌재 주변 차벽을 해제하고 경찰력도 상황에 따라 조정할 방침이다.
박 직무대리는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이후 큰 충돌 없이 상황이 마무리된 점에 대해 “집회 참가자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많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헌재 반경 150m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종로·중구 일대를 8개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지정한 점도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안전부, 서울시, 소방, 서울교통공사, 의료기관 등 관계 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가 성공적인 상황 관리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선고 당일 경찰버스를 곤봉으로 파손한 남성 1명이 현장에서 검거돼 구속된 사례를 제외하고, 경찰관 부상 등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장기간 비상근무에 따른 인력 피로도는 여전한 상황이다. 박 직무대리는 “서울 경찰 책임자로서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밝히며, 탄핵심판 관련 대응 중 숨지거나 다친 기동대원 사례들을 언급했다.
2월에는 기동단 소속 경찰관이 밤샘 근무 후 귀가 중 숨졌고, 3월엔 출근 중 교통사고로 기동대원 1명이 숨졌으며, 4월에도 기동대원 1명이 근무 중 쓰러져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다.
이에 대해 박 직무대리는 전담 케어팀을 꾸려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기동대원들의 출동률을 기존 80%에서 70%로 낮추고 휴가·휴게시간을 충분히 보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탄핵 선고 당일 경찰버스를 파손한 남성에 대해 구속영장이 발부된 만큼, 정확한 범행 동기 등을 추가 조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 20일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 중이던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에게 계란을 투척한 남성의 신원도 특정해 조만간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