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파면된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향한 공세 수위를 대폭 끌어올리고 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징계 요구는 물론, 정부의 거부권으로 무산됐던 내란특검법 등의 재의결 추진까지 예고하며 조기 대선 국면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민주당 최고위원들은 7일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윤석열이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형을 받기에 충분한 정황과 증거들이 차고 넘친다"며 "만일 당선무효형이 확정되면 국민의힘은 대선 기간 지원 받았던 397억원의 보조금을 토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은 "국민의힘은 해체를 결의하는게 맞다. 최소한 그간의 내란옹호를 사과하고 내란수괴를 제명하는 상식적조치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했고, 전현희 최고위원은 "대선 후보를 내지 않는 것이 국민들에 대한 도리"라며 "반성 없이 국민의 명령을 거역한다면 정당 해산의 심판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정부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돌아온 명태균·김건희·내란특검법 등의 재의결 시점도 조율 중이다. 윤 전 대통령과 배우자 김건희 여사에 대한 검찰 수사도 촉구했다. 민주당 '명태균 게이트 진상조사단'은 7일 오후 진상조사단 전체회의를 열고 "윤석열은 이제 대통령이 아니다. 법 심판대에 서야 한다"며 "윤석열·김건희 두 사람을 즉각 소환해 수사하고, '명태균 특검법'도 다시 추진해 통과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더해 국민의힘의 대국민 사과, 국민의힘 1호 당원 윤 전 대통령 제명, 대선 무공천 등 세 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하기도 했다.

민주당이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에도 '내란 잔불 정리'를 내세우며 공세를 이어가는 것은 조기 대선 국면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쥐기 위한 전략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보수 진영의 국회의원들과 대선 주자들이 상당 부분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명태균 게이트'를 고리로 조기 대선에서 승기를 잡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지난 대선에서 불과 0.7%p 차이로 국민의힘에 패배한 민주당으로서는 이번에는 반드시 압도적 승리를 이뤄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이같은 초강경 모드가 조기 대선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조기 대선에서 승리해 정권을 잡을 경우, 과감하게 내란세력 척결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를 두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강성파'와 '온건파'로 의견이 갈릴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아주경제에 "향후 집권 시 내란세력을 어느 정도는 용서하고 포용해서 화합하자는 주장과 내란세력 전부를 청산해야 한다는 의견이 부딪혀 내홍이 커질 것 같다"며 "향후 집권시 내란세력 정리에 큰 결단과 고심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