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韓日 수준' 15% 관세 위해 美에 4000억달러 투자 제안…TSMC가 절반" 대만이 미국으로부터 통보받은 32% 상호관세를 한국과 일본과 같은 수준인 15%로 낮추기 위해 4000억 달러(약 56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31일 연합보 등 현지매체는 대만 당국이 상호관세 유예 마감 시한(8월 1일)을 앞두고 관세를 낮추기 위해 막바지 협상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지난 21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찾은 정리쥔 부행정원장(부총리 격)이 28일이었던 귀국 일정을 조정해 미국에 남아 미국 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일부 매체는 4000억 달러의 2025-07-31 15:01
-
"디플레 우려 심화" 中 제조업 경기 넉달째 위축 중국 제조업 경기가 넉달째 위축세를 이어가며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하락)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49.7)보다 0.4%포인트(P) 하락한 49.3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앞서 전달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한 로이터 전망치(49.7)를 하회한 것이다. 이로써 중국 제조업 PMI는 4월(49.0), 5월(49.5), 6월(49.7)에 이어 넉달째 위축세를 이어갔다. PMI는 중국 제조업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을,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2025-07-31 11:2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31일) 7.1494위안...가치 0.07% 하락 3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53위안 올린 7.1494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7%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1920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007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013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79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31 10:24
-
전기차 출혈경쟁에도..CATL 2분기 실적 '선방' 중국 배터리왕 닝더스다이(寧德時代, CATL)는 전 세계 전기차 수요 둔화, 중국 전기차 출혈 경쟁, 배터리 원자재 가격 하락,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2분기 순익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등 양호한 실적 성장세를 기록했다. CATL은 30일 저녁 실적 보고서를 통해 2분기 순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4% 증가한 165억 위안(약 3조2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 분기 증가율(32.9%)보다 높은 수준이자 앞서 시장 예상치(156억 위안)도 웃도는 실적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8% 증 2025-07-31 10:03
-
"미중 관세 휴전 연장 언제까지?" 트럼프가 최종 결정 미국과 중국이 28~29일(현지시각) 이틀간의 '스톡홀름 담판'을 통해 오는 8월12일로 끝나는 관세전쟁 휴전 시한을 연장하는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보이지만, 연장 시한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아 '뒤끝'을 남겼다. 양측은 연내 미·중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공급과잉, 기술통제, 펜타닐 문제, 러시아산 석유 구매 등 주요 현안 해결은 미루고 관세 인하 조치 연장을 목표로 협상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아 양국간 이견이 여전히 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관영 2025-07-30 15:06
-
中창안차, 국유기업으로 정식 출범...中 국유자동차 3강체제 형성 중국 자동차 기업 창안자동차가 중국 3번째 국유기업으로 정식 출범했다. 30일 21세기경제망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창안차는 전날 충칭에서 기존 모기업인 중국병기장비그룹에서 분사해 독립 국유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창안차는 제일자동차와 둥펑자동차와 함께 중국 국유 자동차기업 3강구도를 형성하게 됐다. 창안차는 올해 초 둥펑차와 합병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1862년 설립돼 162년 역사를 자랑하는 창안차는 중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 중 한곳으로 창안치위안 등 독자 브 2025-07-30 11:2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30일) 7.1441위안...가치 0.10% 상승 30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70위안 내린 7.144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10%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703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23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60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55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30 10:21
-
"위험한 도박" '한미 조선업 협력' 경계하는 中 관영언론 중국 관영매체가 한국이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이른 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를 제안한 것에 대해 "위험한 도박"이라며 "미국의 이익에 종속될 수 있다"며 경계했다. 한·미 조선 협력 확대가 글로벌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가는 중국 조선업을 견제할 것을 우려한 목소리로 풀이된다.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시점(8월1일)을 앞두고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마스가' 2025-07-30 10:04
-
"엔비디아, TSMC에 H20 30만개 신규 생산 주문…美, 아직 대중 수출 승인 안해"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가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업체 TSMC에 중국 수출용 H20 칩 30만개를 신규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은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엔비디아가 중국 내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TSMC에 신규 생산을 요청했다고 29일 전했다. 이는 그동안 보유 재고를 판매해온 기존 방식과 다른 행보다. H20 칩은 2023년 말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첨단 반도체의 대(對)중국 수출을 제한하자, 엔비디아가 규제를 피하고자 설계된 저사양 칩이다. 이 칩은 최상위 2025-07-29 16:05
-
화웨이에 밀리는 애플...中 본토 매장 첫 폐점 화웨이 등 중국 토종업체에 밀려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애플이 처음으로 중국 내 직영 매장 문을 닫는다. 애플은 28일 중국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 중산구 파크랜드몰 지점 매장을 내달 9일까지만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곳은 2015년 10월 애플이 처음으로 다롄에 문을 연 매장이며 중국 내 애플 직영매장 중 처음으로 문을 닫는 것이다. 이로써 다롄 내 애플 직영매장은 올림피아66점 한 곳만 남게 된다. 애플은 “파크랜드몰에 있는 여러 소매업체가 철수함에 따라 2025-07-29 15:51
-
"美 라이칭더 방미 불허, 中 보잉기 구매설" 미중 무역협상 진전 '청신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8월 초 예정됐던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미국 경유 방문을 사실상 불허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미·중 무역협상 진전에 따라 미국 보잉사 여객기 구매라는 ‘선물 보따리’를 안길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최근 미국과 중국 양국이 고위급 무역협상을 넘어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모색하는 가운데 나온 ‘청신호’로 해석된다. 習 자극말자…라이칭더 방미 불허한 트럼프 대만 총통부는 28일 대만 태풍 피해 복구, 미국·대 2025-07-29 12:08
-
"2027년까지 中 대미수출 700조원 감소 전망...韓은 68조 감소" 미국과 중국이 제3차 고위급 무역협상에 돌입한 가운데, 현행 관세율이 유지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이 향후 2년 동안 약 5000억 달러(약 700조원)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산하 경제복잡성관측소(OEC)가 제공한 ‘관세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2027년까지 중국의 대미 수출은 4850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CNBC가 28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는 전 세계 대미 수출 감소폭을 모두 합친 것보다 큰 수준이다. 미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중국산 제품 총 2025-07-29 11:13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9일) 7.1511위안...가치 0.06% 하락 29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4위안 올린 7.151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063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22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76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94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9 10:19
-
日 "대만기업 지원에 761조원 對美투자금 활용 가능"…美·日·대만 반도체 동맹 강화되나 일본이 미국의 관세 인하를 대가로 약속한 5500억 달러(약 76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금을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대만 기업 지원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미국을 주축으로 일본과 대만의 ‘반도체 동맹’이 강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지난 26일 NHK에 출연해 미국과의 무역협정 패키지를 통해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미국이나 일본 기업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예컨대 대만의 반도체 2025-07-28 15:08
-
미·중 정상회담 '길닦기'…스톡홀름 회담서 미·중 관세휴전 연장하나 미국과 중국이 '스톡홀름 무역 회담'에서 관세 휴전 기한을 90일 연장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아울러 이번 회담이 미·중 양국 간 연내 정상회담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협상 대표단은 28일(현지시간)부터 29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제3차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관세 인하 기간 연장을 포함해 중국발 과잉생산, 펜타닐 수출, 미국 기술통제 등 주요 쟁점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양측은 내달 12일 마감되는 미·중 관세 휴전 기한 2025-07-28 11:41
-
대만, 美 관세 취약 산업 지원에 4.4조원 투입키로 미국과 대만 간의 무역협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대만 정부와 업계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대만 경제전문매체 징지르바오는 “대만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이번주에 공개될 예정”이라면서 “대만은 일본과 한국보다 낮은 관세율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부와 업계는 여전히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입법원(국회)은 최근 산업계 지원을 위한 930억 대만달러(약 4조4000억원) 규모의 특별예산이 포함된 ‘국제 정세 대응 경제·사 2025-07-28 11:06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8일) 7.1467위안...가치 0.07% 하락 2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8위안 올린 7.146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7%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099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0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16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08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8 10: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5일) 7.1419위안...가치 0.05% 하락 2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4위안 올린 7.141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5%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001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65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56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0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5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