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中, 美 '10+10% 관세' 개시에 "반격할 것…조속한 대화 희망" 2025-03-04 09:59
-
[2025 양회] 제2의 딥시크 육성...포스트 '중국제조 2025'에 쏠리는 눈 미국과의 기술패권 경쟁과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돌풍'으로 탄력을 받은 중국 정부가 올해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지난해 양회에서 국가 차원의 AI 종합 지원강화책인 ‘AI 플러스 행동(AI를 각 산업에 접목하는 것)’을 내놓은 바 있다. 특히 올해는 ‘중국제조 2025’ 정책의 마지막 해인 만큼, 이를 이어갈 새 정책이 윤곽을 드러내고 과학기술 투자 2025-03-03 10:12
-
[2025 양회] 디플레, 무역전쟁 리스크에도 성장률 '5% 내외' 목표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4일 개막한다. 양회는 정치자문기구 격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합쳐 일컫는 말이다. 양회를 통해 올해 중국의 정치·경제·사회 등 각 분야의 로드맵이 공개돼 중국 지도부의 국정 운영 방향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더 많은 관세를 위협하고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과 부동산 경기 장기 침체에 시달리는 상황 2025-03-03 10:11
-
트럼프, 中양회 개막일에 10% 추가 관세…中 "대화로 해결하자, 아니면 맞대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또다시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중국 상무부가 강력하게 반발했다.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모든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며 보복 가능성도 시사했다. 추가 관세는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막일에 부과될 예정으로, 중국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졌다. 중국 상무부는 28일 기자와의 문답 형식으로 성명을 내고 미국이 펜타닐을 이유로 3월 4일부터 중국 제품에 10% 추가 2025-02-28 14:5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8일) 7.1738위안...가치 소폭 상승 2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2위안 내린 7.173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소폭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045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3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0994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9.89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8 10:17
-
'중국판 골드만삭스' 또 탄생하나...중금·인허증권 합병설 중국 대형 증권사인 중국국제금융공사(중금공사, CICC)와 인허(銀河 갤럭시)증권사 간 합병설이 흘러나온다. 두 합병사가 합병하면 총자산 277조원 규모의 중국 '톱3' 초대형 증권사가 또 탄생하는 셈이다. 최근 중국 지도부가 미국 월가 'IB 공룡'에 맞설 '중국판 골드만삭스'를 육성할 것을 지시한 가운데 나온 움직임이다. 277조 자산 중국 '넘버3' 증권사 탄생? 로이터는 CICC와 인허증권의 합병이 몇주 전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아 수주 안으로 발표될 예정이라고 26일 복수의 2025-02-27 12:12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7일) 7.1740위안...가치 0.01% 하락 27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8위안 올린 7.1740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556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9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1350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38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7 10:17
-
[종합] 광물 집착하는 트럼프, 자원으로 번지는 美·中 경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광물 자원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 속에 중국의 ‘자원 무기화’ 카드를 무력화하고, 더 공격적으로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미·중 경쟁의 불길이 무역, 기술에 이어 자원까지 번질 조짐이다. 다피드 타운리 포츠머스대학 국제안보 교수는 25일(현지시간) 학술 매체 더 컨버세이션 기고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핵심 광물의 대체 공급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있다”면서 2025-02-26 17:59
-
'중국판 포브스' 후룬, 中 500대 민간기업 발표…"반도체 성장 두드러져" ‘중국판 포브스’ 후룬연구원이 기업가치 기준 500대 중국 민간기업을 발표했다. 딥시크 열풍 이후 중국이 민간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반도체 등 기술 기업들이 목록에 대거 포함됐다. 후룬연구소가 25일 발표한 ‘2024년 중국 500대 민간기업’ 순위에 따르면 대만 TSMC가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TSMC 기업가치는 전년 대비 88% 증가한 6조9800만 위안(약 138조원)에 달했다. 중국 대표 모바일 메신저 위챗(웨이신) 운영사 텐센트(텅쉰)이 2위,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가 3 2025-02-26 17:35
-
中양회 앞두고 이통3사 찾은 中총리 "첨단산업 R&D 늘려라"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3대 국유 이동통신사를 방문해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R&D) 강화를 주문했다. 올해 양회에서 중국이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육성을 적극 강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서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 속 기술자립 강조 26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리창 총리는 전날 차이나텔레콤·차이나유니콤·차이나모바일 산하 기업을 차례로 시찰하며 신품질 생산력 2025-02-26 16:57
-
美 트럼프, 우크라와 광물협정 체결...中 대응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광물협정 체결을 서두르며 핵심 광물 확보에 나서는 배경으로는 중국 견제가 첫손에 꼽힌다. 중국이 미국과의 패권 경쟁 속 갈륨·희토류 같은 희소 광물 자원을 무기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중국에너지보는 24일 중국이 향후 트럼프발 광물 패권 경쟁에 맞서 핵심 광물 공급망 통제를 강화하고 제련·가공 처리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에너지보는 중국 공산당 2025-02-26 11:46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6일) 7.1732위안...가치 0.01% 하락 26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6위안 올린 7.173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713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43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1200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29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6 10:19
-
"中 기업들의 딥시크 열풍으로 엔비디아 H20칩 주문 급증" 중국 기업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잇따라 채택하면서 엔비디아의 AI칩인 H(호퍼)20 주문이 급증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딥시크 열풍 속에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 및 텐센트 등 중국 대형기술(빅테크) 기업들이 H20 주문을 "대폭 늘렸다"고 6명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H20은 엔비디아가 조 바이든 정부의 대중국 제재를 우회하기 위해 내놓은 중국 시장용 AI칩으로, H100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이다. 바이트댄스는 현재 다른 기업 2025-02-25 14:45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5일) 7.1726위안...가치 0.01% 하락 2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9위안 올린 7.172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32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137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086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15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5 10:18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1일) 7.1696위안...가치 0.02% 상승 2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6위안 내린 7.169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38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227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108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84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1 10:18
-
"경제 살려라" 中 통신·의료 등 외국인 개방 확대 올해 경제 성장을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는 중국이 외국인 기업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고 더욱 강도 높은 시장 개방 정책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국과의 관세전쟁 리스크에 따른 중국 경제 충격, 외국 자본 유출을 우려한 중국이 외자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는 것이다. 20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 등에 따르면 국무원은 전날 '2025년 외자 안정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은 중국 상무부와 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가 마련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통신·의료&m 2025-02-20 14: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0일) 7.1712위안...가치 0.01% 하락 20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7위안 올린 7.171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02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7807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0743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96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0 10: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9일) 7.1705위안...가치 0.01% 하락 19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8위안 올린 7.170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17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7559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1024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9.08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2025-02-19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