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지역에서 대규모 분양을 앞두고 있는 건설사들에 비상이 걸렸다. 용인시의 분양가인하 압박과 인근 집값의 내림세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집값 상승촉이 커 참여정부로부터 '버블 세븐'의 하나로 지목됐던 용인은 지난해 초부터 하락세를 타 중대형아파트 값이 1년새 10~15% 가량 빠졌다. 대형아파트 값은 최고 1억5천만원이 떨어지기도 했다.
◇용인 중대형 1년새 10~15% 하락
28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6년 사이 용인의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수지구 상현동ㆍ성복동ㆍ신봉동 일대의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1년간 10%안팎 하락했다.
입주 6년차를 맞는 수지구 신봉동 LG빌리지5차 175㎡(53평)형은 현재 7억~7억5천만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초 시세가 8억원을 웃돌았던 것에 비하면 1년새 1억원 넘게 떨어진 것이다.
초대형 아파트도 가격이 크게 떨어지기는 마찬가지다. 성복동 LG빌리지1차 304㎡(92평)의 경우 지난 2006년 13억5천만~14억원까지 올랐지만 지난해 이후 하락세를 타기 시작해 현재 시세는 12억원대다.
◇집값 하락이 분양가인하 압력으로 작용
기존 아파트값이 떨어지자 올해 8천여가구의 분양을 앞두고 있는 건설사들은 긴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말 GS건설, 현대건설, 동일하이빌, 동부건설, 고려개발 등이 짓는 아파트의 시행사들은 3.3㎡당 1천700만원대 중반부터 높게는 1천860만원까지 분양가를 책정해 분양승인을 신청했다. 그러나 용인시는 분양가를 낮추겠다며 지금까지 승인을 미루고 있다.
주변 집값의 하락도 업체들에게는 분양가 인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용인시가 내세우는 적정 분양가가 '인근 시세를 자극하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기준이 되는 신봉동 및 성복동 지역의 중대형 아파트값은 지난해 초 3.3㎡당 1천600만~1천700만원선에서 올해 1천400만~-1천450만원대로 내려앉았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