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분양률 높이기 총력

  • 미분양 속출…고육책 쏟아내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 아파트 분양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주택건설업체들이 분양률을 높이기 위한 고육지책을 쏟아내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전국 미분양 물량은 외환위기 이후 사상 최대인 12만가구를 넘어섰다. 특히 경기를 중심으로 급증한 수도권 미분양 가수수만 2만3000가구에 달한다.

이에 따라 최근 건설업체들은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규제 완화가 기대되는 다음달 총선 이후로 분양시기를 늦추는가 하면 최근 중소형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급증하자 중대형을 중소형으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일부업체들은 적체된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미분양 물량을 헐값에 넘기는 극약처방까지 동원하고 있다.

11일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출 규제와 세금 부담으로 중대형 분양이 여의치 않자 대형 아파트를 중소형으로 쪼개 다시 분양에 나서는 곳이 늘고 있다.

최근 청약시장에서 중대형보다는 중소형이 선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소ㆍ중ㆍ대형 등 주택크기별로 달리 적용해 온 단위면적(3.3㎡) 당 분양가격을 똑같이 책정하는 경우도 있다.

GS건설은 지난해 말 분양을 시작한 경기도 고양 식사지구의 '위시티 자이'의 중대형 가구를 중소형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전체 4507가구 가운데 88%인 3971가구가 중대형으로 분양가가 3.3㎡당 1500만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GS건설은 이 단지를 애초 계획한 중대형 고급단지가 아닌 중소형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두고 인허가 문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완화로 분양시장이 활력을 찾을 것으로 기대되는 다음달 총선 이후로 분양을 미루는 등 분양시기를 저울질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특히 지방은  최근 정부가 올 상반기 안에 지방 공공택지에 짓는 아파트의 전매 제한 기간을 완화해줄 것으로 알려지면서 두고 보자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동일하이빌은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에 짓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분양을 4월 중순 이후로 미뤘다. 뚝섬 등에 들어서는 고가 주상복합 아파트의 분양실적을 지켜보며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도 기대해보겠다는 생각에서다.

대우건설도 이달로 잡혔던 시흥시 신천5차 푸르지오 434가구의 분양을 5월로 연기했다.

지방에서는 대림산업이 광주 광천지구(1096가구), 울산 유곡동(650가구)의 분양을 다음달 이후로 미뤘고 한양은 천안 청수지구에 들어서는 중소형 아파트의 분양을 연초에서 5월 이후로 늦췄다.

전문 도매상이나 분양대행사에 미분양 물량을 30% 가량 싸게 넘기는 '땡처리'도 외환위기 이후 다시 등장했다. 미분양이 지속돼 악화된 자금사정 때문이다.

특히 공사가 완전히 끝나 입주가 시작된 뒤에도 팔리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주 대상이다. 국토해양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모두 1만7천395가구다. 이는 지난 2001년1월 1만5543가구 이후 최대 규모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