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 대통령 업무보고서 밝혀
정부가 매출액 1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농수산유통법인을 전국 시.군 단위로 약 100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18일 농림수산식품부는 생물산업진흥원에서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감귤.양돈 등 품목별로 대표 생산자 조직을 결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국 감귤류 생산자 조직 '썬키스트'를 모델로 한 품목별 대표조직은 현재 생산 규모가 3000억원이 넘는 품목에서 추진될 예정이고 현재 감귤과 양돈, 넙치 등이 우선 대상으로 거론됐다.
정부는 농수산식품 유통 혁신 차원에서 시.군 단위 유통회사와 품목별 국가 대표조직, 대규모 농어업회사 등을 육성할 방침이다.
대규모 농수산 유통회사를 통해 마트.백화점.외식체인점 등 주요 수요처에 대한 가격 협상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품목별 생산자 조직은 수급조절과 품질개선으로 자체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시.군 단위 유통회사는 자본금 100억원 규모의 독립법인으로 해당 지역 생산물의 3분의 1 이상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매출 1000억원 이상을 설립기준으로 검토하고 있다.
경쟁력을 갖춘 농업 전문 경영인을 기르기 위해 내년까지 다른 분야 임원급 출신 100명을 선발한다. 국내외 선진 농수산 현장 방문 등이 포함된 'CEO MBA(경영학 석사)' 교육 과정도 정부가 진행한다.
30~40대 젊은 농업인력 확보방안으로 주거 환경과 교육 여건이 잘 갖춰진 '농어촌 뉴타운'을 건설해 도시로 떠난 사람들을 다시 불러들인다는 전략도 세웠다.
시.군별 특산식품 클러스터도 약 140개를 만들어 2012년까지 농수산식품 수출액을 60억달러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국제 곡물가격 급등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연이율 3%, 1년 일시상환 조건으로 사료구매자금 1조원이 축산농가에 지원된다. 담보력이 약한 농가의 원활한 대출을 위해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농신보)의 특례보증(일반 축산농가 5000만원, 양돈농가 1억원)도 추진한다.
밀 수입을 줄이기 위해 현재 한 해 22만t 정도 들어오는 가공용 의무수입(MMA) 쌀을 밀가루 가격 수준에 쌀국수.라면 등 면류 가공식품용으로 공급하는 시범사업도 오는 6월께 시작한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일보'(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