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들은 환율과 원자재 가격 폭등가 물가인상 압력 영향 등이 국내 경기에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하면서 정부의 적극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정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과 정구현 삼성경제연구소장 등 11개 국책, 민간 경제연구기관장들은 24일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과 서울 태평로 프라자호텔에서 회동을 갖고 경제 전망과 현안에 대한 대책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면서 최근의 경제 상황에 우려를 표명했다.
이 자리에서 오상봉 산업연구원(KIET) 원장은 "물가 불안의 주요 원인인 원자재 가격의 급등세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라면서 "철광석의 경우 올해 65%나 폭등하면서 전 산업의 생산비용을 0.5% 상승시킬 것"이라고 추정했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주현 원장은 환율문제에 대해 “달러당 1000원, 100엔당 1000원의 '1000-1000 시대'로의 회귀 가능이 크다”며 "금융손실 증가와 투자위축으로 국내 경기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방기열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유가와 관련 “올해 두바이유의 연평균 가격이 배럴당 86.2달러로 지난해보다 17.9달러나 오를 것”이라고 진단했다.
거시경제와 관련 정구현 삼성경제연구소장은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고조에 달한 뒤 하반기에 다소 진정될 전망"이라며 "경기의 하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적극적 재정확대와 금리인하로 경기둔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원자재 가격급등에 대처하기 위해 할당관세 적용을 확대하고 원자재 방출량을 늘이는 한편, 해외광물자원 개발투자를 통해 원자재 공급능력을 확대하겠다"고 답변했다.
이 장관은 이어 "무역수지의 흑자기조 유지가 경제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다각적인 수출촉진 시책을 추진 하겠다"고 밝혔다.
신종명 기자 skc113@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