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세계 선박 물량 싹쓸이에 전념해 온 국내 조선업계가 선박 수출에서 벗어나 조선 기술 수출에 힘을 기울이고 있어 주목된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업체들은 최근 2~3년간 미국, 브라질, 베트남 등 세계 각 국에 상선, 조선소 건립 등에 관한 기술수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선박 설계도면, 수리에 필요한 노하우 등의 조선 기술은 수익성, 가격 경쟁력 등이 우수하고 특히 수년간의 경험이 필요해 기술유출에 관한 우려도 희박하다는게 장점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06년 7월 브라질 수아페지역 조선소 건설을 위해 구성된 컨소시엄 ‘애틀랜티코(ATLANTICO)와 조선소 건립 및 운영, 선박 전조용 도면제공에 관한 기술지원을 위해 로열티 1400만 달러에 계약을 체결했다.
애틀랜티코는 오는 2010년까지 심해 유전개발 설비, 제작을 위한 전용 도크를 추가 건설할 계획을 갖고 있어 잇단 기술수출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설계, 구매대행, 선박검사 등을 수행하는 디섹(DSEC)을 통해 기술 수출에 적극적이다.
디섹은 2006년 4월 미국 서부 최대조선소인 나스코와 2012년까지 4만9000t급 정유운반선 9척에 대한 설계도면과 철판, 페인트, 용접재를 제외한 모든 기자재의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은 2억6000만 달러로 알려졌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미국은 군함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상선 건조 분야는 지난 10여년간 관련 기술이 전무하다”며 “나스코와의 계약은 대우조선의 기술이 세계 최고임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디섹은 또 이달 베트남 국영 비나신조선그룹 산하의 박당조선소가 건조할 2척의 4만9000t급 정유제품운반선에 대한 설계와 주요 기자재를 공급하기로 하는 계약을 맺었다.
박당조선소가 건조할 정유제품운반선 2척의 기본․상세 설계를 담당하고 건조 과정에서 필요한 전기장치, 선실자재 등 선박용 기자재를 공급하는 조건으로 4620만 달러를 받게 된다.
현대중공업 역시 그동안 대만과 브라질 등에 꾸준히 설계도면을 수출해왔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기술의 해외수출은 수십년간 5대양을 누비며 그 성능과 품질이 입증됐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국내 조선업계는 기술유출에 관한 보안과 함께 LNG선박의 저장탱크나 대형 선박용 엔진 제조기술 등 각종 새로운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 기자 sasori@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