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 발아조절 유전자 '솜너스' 발견

  • KAIST 최길주 교수, 종자 발아성질 조절에 활용

국내 연구진이 식물 씨앗이 햇빛을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KAIST 생명과학과 최길주 교수는 애기장대라는 식물 중 어두운 곳에서 싹이 트는 돌연변이체를 조사해 빛이 없어도 싹이 트게 하는유전자를 발견,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랜트 셀(Plant Cell. 5월호)'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최 교수팀은 ‘솜너스(Somnus)'라고 명명된 이 유전자가 솜너스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잠의 신'에서 따온 것으로 이 유전자가 씨의 잠자는 상태를 조절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솜너스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잠의 신'에서 따온 것이다.

씨앗은 보통 수분과 온도 등 외부 조건이 맞으면 싹을 틔우며, 빛이 있을 때만 발아하는 광발아성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씨앗 내 앱식산과 지베렐린이라는 물질이 씨의 휴면과 발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그 조절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최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돌연변이 애기장대에서 솜너스 유전자를 찾아내고 이 유전자가 빛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앱식산과 지베렐린의 양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인공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킨 애기장대 씨앗 중 어두운 곳에서 싹이 트는 것만 골라 재배한 뒤 다시 씨를 받아 발아시키는 과정을 거쳐 어두운 곳에서 싹이 트는 돌연변이체를 찾아냈다.

이들은 이어 이 돌연변이체에서 특정 유전자 변이를 찾아냈으며 이 유전자가 앱식산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고 지베렐린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 교수는 "솜너스 돌연변이체들은 빛이 없는 곳에서 발아하지만 성장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며 "씨앗의 발아 성질을 유전공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았다는 점에서 종자산업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종명 기자 skc113@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