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로 인한 운송업계의 파업과 노선 감축 등이 잇따라 벌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물류·교통 대란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 8일 정부 및 관련 기관·단체에 따르면 전국운수산업노동조합 화물연대 본부는 금일부터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화물연대의 경우 지난 6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총파업을 결의하기 전 실시한 조합원 설문조사에서 대다수가 총파업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파업은 지도부가 시기와 방법을 정하는 것만 남았다.
덤프트럭과 레미콘 운전자 1만8천여명이 가입해 있는 건설노조는 16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힌 상태다.
하지만 화물 운전자들은 사실상 고용된 상태에서 근로를 하면서도 단체교섭권이 없는 사업자 신분이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보장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는 정부가 화주, 물류업계와 협상 테이블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실제 이들이 테이블에서 마주앉기는 어려울 전망이며 경유 값이 오르면 고스란히 그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국토해양부는 올해 초 화물연대에 최저임금제에 해당하는 표준 요율제를 도입하겠다고 했지만 부처 간 협의가 제대로 되지 않아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다.
한편, 버스업계도 요금 40%를 올리지 않으면 오는 16일부터 노선 30%에 대해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는 16일 이후에도 요금인상, 유류세 환급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다음 달부터는 지방의 적자 노선을 시작으로 전체 노선의 50% 감축할 계획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번 물류·교통업계 파업 및 노선 감축은 지난 2003년 불합리한 화물운송체계에 대한 파업에 경유 값 급등이라는 직접적인 생계 문제가 더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서울시가 택시요금을 비롯한 6대 공공요금 동결방침을 밝힌 가운데 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이 서울시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과 집단행동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두 조합은 서울시에 운임 35% 이상 인상, 유류가격 상승에 따른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나원재 기자 wjstyl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