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버블'지역과 '비버블'지역의 아파트값 차이가 2년새 10%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를 조사한 결과 강남ㆍ서초ㆍ송파ㆍ양천구 등 버블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21개구의 3.3㎡당 가격은 평균 1389만원으로 버블지역 평균 2743만원의 절반 수준을 넘어섰다.
이는 버블지역의 집값이 크게 뛰던 지난 2006년 5월 비버블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가 3.3㎡당 987만원으로 버블지역 2446만원의 40% 수준에 그쳤던 데 비해 격차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특히 올해 초부터 강북을 중심으로 비버블 지역의 집값은 가파르게 오른 반면 버블지역은 하락세를 나타내 지역간 격차를 크게 좁혔다.
2006년 5월 대비 현재의 아파트값 변동률을 보면 버블지역은 11.6% 오른 데 반해 비버블지역은 39.95%로 오름폭이 3배 이상 컸다.
지역별로는 노원구가 675만원에서 2년새 1249만원으로 85.21%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고, 이어 도봉구(66.62%) 강북구(59.36%) 중랑구(53.26%) 금천구(42.38%) 관악구(41.08%) 순으로 많이 올랐다.
반면 버블권은 비교적 많이 오른 강남구가 3.3㎡당 3060만원에서 3516만원으로 14.91% 오르는 데 그쳤으며 서초구(11.77%) 양천구(8.71%) 송파구(7.49%) 등은 상승률이 더욱 낮았다.
부동산써브 관계자는 "대출규제 강화, 양도세 부담 등 고가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강화돼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강북지역으로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