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와 이동통신사의 과당경쟁억제를 위해 이달부터 도입키로 했던 유무선통신 결합상품 정책이 제대로 펼쳐지기도 전에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3일 방송통신위원회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초고속인터넷과 이동통신이 결합된 상품이 이달부터 본격 출시됐지만 통시사업자들의 마케팅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으면서 시장활성화에 제동이 걸렸다.
더욱이 개인정보 유용협의로 40일 영업정지를 받은 하나로텔레콤을 비롯해 KT와 LG파워콤도 개인정보 유용혐의로 방통위로부터 수십일 간 영업정지를 내릴 것으로 예상돼 올 하반기 유무선통신 결합상품 시장형성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실성 떨어지는 50% 인하
가입자의 이동통신 요금 최대 50% 할인을 앞세운 무선통신사들의 결합상품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업계 일각의 지적이다.
우선 요즘같은 핵가족시대에 5이가족을 찾기 어렵다. SK텔레콤의 경우 세대와 상관없이 직계가족이면 묶을 수 있다고 했지만 가족 5명이 ‘T끼리 온가족 할인제도’ 상품에 가입해 50% 할인혜택을 받는 경우는 좀체 드물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번호이동이 빈번한 현재 가족 5명이 가입년수 30년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상황은 더욱 힘들다.
KT의 결합상품도 50%할인이 가능한 대상을 ‘동거하는 가족 5명’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족수는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LG텔레콤의 50% 할인 조건도 '가입자의 부모, 형제, 자녀까지 대상으로 3년 약정'을 내세웠기는 하지만 유무선 통신시장에서 열세에 있는 상황에서 가족 구성원 5명 모두를 LG 가입자로 묶기에는 어려울 것이라는게 업계일각의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통신사들이 5인가족을 기준으로 결합상품을 내놓았다는 것은 이익만을 생각하는 행태”라며 “가입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현실성 있는 상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징계로 위축된 유선통신업계
방송통신위원회가 개인정보 유출혐의를 적용, IPTV 국내 최대 업체인 하나로텔레콤에게 40일간 영업정지를 내린 후 유선통신업계의 마케팅 활동이 위축됐다.
방통위는 또 현재 KT와 LG파워콤의 개인정보 유출혐의를 조사중에 있으며 이달 중순경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는 KT와 LG파워콤 역시 하나로텔레콤에는 미치지 못하겠지만 각각 약 30일 전후의 영업정지란 중징계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사 관계자는 “통신사의 영업정지는 1주일을 넘어서면 큰 타격을 받게 돼 있다”며 “통신사들이 만약 중징계를 받게 된다면 올 하반기 유무선 통신결합 시장은 형성되기 어려울 것이 확실하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통신요금 인하 및 시장활성화를 위해 허가한 유무선 통신결합 상품시장이 형성되기에는 현 시장상황이 너무 어렵다”며 “방통위가 시장 활성화를 위해 좀 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줬으면 하는 바램이다”라고 말했다.
박용준 기자 sasori@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