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경제연구소들이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잇달아 내놨다.
삼성경제연구소는 6일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경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경제는 성장과 물가, 자산가격, 투자 등에서 과열 상태로 감속 성장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올림픽 이후 중국의 경제 정책을 3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예상할 수 있는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급격한 경기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 성장 기조를 유지하되 인플레이션 억제에 주력하는 경우"라며 "중국의 성장률이 올해 9.8%에서 내년 8.1%로 둔화하면서 중국 경제가 연착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중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경기 부양에 나설 경우 9%대의 성장률을 이어갈 수 있고 반대로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 성장률이 7%대로 급락할 수 있지만 이런 시나리오들은 모두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다.
연구소는 "중국의 경기 둔화가 본격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대(對) 중국 수출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며 "중국 성장률이 7%대로 급락하는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이날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 불안하다' 보고서에서 "중국의 경우 '밸리 효과(Valley Effect)'가 과거 다른 올림픽보다 클 수 있고 추가적인 위험 요인도 상존하고 있다"며 "중국 경제의 침체가 예측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밸리 효과는 올림픽 개최 후 경기가 급격히 악화되는 현상으로 최근 6차례 올림픽 중에서 1996년 미국(애틀랜타)을 제외한 모든 개최국들이 그 후유증에 시달렸다
연구원은 중국의 올림픽 투자가 역대 올림픽 중 최대 규모이고 올림픽 개최 도시들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과도하게 높다는 점 등을 근거로 과잉투자에 따른 충격을 우려했다.
소비 측면에서도 최근 소비자기대심리가 둔화하고 있어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고 증시와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거품이 해소되면서 투자와 소비가 함께 급랭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연구원은 덧붙였다.
여기에 국제 원자재가격의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중국 무역흑자의 감소세, 대규모 핫머니(단기성 투기자금)의 대량유출 가능성 등 추가적인 리스크 요인이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