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소비 이어 고용도 악화

KDI, 경제동향 보고서
"경기 하강국면 진입"

물가상승 지속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고용지표마저 적신호가 켜졌다는 진단이다.

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8월 경제동향 보고서에서 "6월 산업생산은 6.7% 증가해 전월 8.6%보다 증가세가 1.9%포인트 둔화했다. 소비관련 서비스생산지수는 전월 4.9%보다 2.1%포인트 하락한 2.8% 증가에 그쳤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는 생산이 둔화하고 재고가 급증하는 생산-재고 순환은 경기가 하강국면으로 들어서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소비지표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2분기 민간소비는 2.4% 증가에 그쳤고 계절조정 전기대비로는 오히려 0.1% 감소했다.

6월 소비자판매액지수도 전반적 판매 악화로 1% 감소했고 소비자평가와 기대지수까지 하락하면서 수개월새 소비심리가 빠르게 악화한 것이다.

KDI는 6월 설비투자추계가 4.4% 늘면서 소폭 반등했지만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7월 수출은 단가 상승과 신흥시장 수출 확대로 증가율이 37.1%에 달했으나 유가 급등으로 수입이 47.3%나 늘면서 무역수지는 16억3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하반기 들어서도 고용지표 악화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놨다.

전반적 내수 침체로 6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4만7000명 증가에 그쳤다. 이는 2005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KDI는 "고용과 밀접한 소비 침체가 지속된다면 하반기 취업자 증가폭은 더욱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7월 소비자물가는 5.9% 상승해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 가격도 상승을 지속했다.

KDI는 "다만 최근 유가 하락세와 환율 안정이 지속될 경우 공업제품가격 상승세가 주춤할 것이다.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부분적으로 안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금융지표에 대해서는 국제유가가 하락하기 시작한 7월 중순 이후 일부 안정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