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경기침체와 구조조정 등 악재로 자영업자들의 수가 5년래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는 ‘자영업자들의 몰락’에 대한 ‘가시화’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이 같은 현상은 가게를 유지하는 자영업자들의 벌이가 시원찮은데다 소규모 업체의 폐업. 도산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17일 기획재정부 및 통계청은 상반기 기준 자영업자 수는 모두 594만 500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7만 3000명가량 감소, 60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이는 카드 사태로 내수침체가 극에 달했던 2003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상반기 기준 자영업자 수는 2002년 614만 7000명에서 2003년 594만 4000명으로 급감했다.
2004년에는 606만 9000명, 2005년 611만 6000명으로 늘어났다가 2006년 610만 5000명, 2007년 601만 7000명, 2008년 594만 5000명으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특히 종업원을 두고 자신의 사업을 하는 고용주는 지난해 상반기 155만 9000명에서 올해 상반기 153만 9000명으로 2만명 가량 줄었다.
종업원 없이 자신의 사업을 하는 자영자도 같은 기간 445만 9000명에서 440만 7000명으로 5만 2000명 감소했다.
가족이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받지 않고 일하는 무급 가족종사자도 1년 만에 3만 6000명 줄어 올해 상반기 현재 136만 5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자영업자의 소득을 보여주는 자영업자 영업잉여도 83조 2700억원으로 지난해 82조 5250억원에 비해 0.9%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대비 자영업자 영업잉여는 2003년 -8.8%, 2004년 -0.9% 등으로 감소하다가 2005년 1.0%, 2006년 3.5% 등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2007년에는 증가폭이 다시 작아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용성 연구위원은 “내수 시장의 침체가 계속 이어지다 보니 자영업이 크게 위축됐다”며 “당분간 비슷한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