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적자 가정, 6년래 최고치

  • 통계청, 지속적인 물가상승이 가계 지출 부담 늘려

적자에 허덕이는 가정이 6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살림살이 경제가 매우 위태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정체됐지만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 가계 지출의 부담이 더욱 늘어났기 때문이다.

25일 통계청은 가계수지동향 자료를 통해 2분기 전국가구 중 적자가구의 비율은 28.1%로 지난해 같은 기간인 27.8%에 비해 0.3%포인트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는 2분기 기준으로 전국단위 가계수지 통계작성이 이뤄진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분기에 적자를 기록한 가구 비율은 2003년 28%에서 2004년 27.3%, 2005년 26.8%로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2006년과 2007년에 27.8%를 기록하다가 올해는 급기야 28.1%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적자가구 비율이 높다는 것은 벌어들이는 소득보다 지출을 더 많이 하는 가구가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소득과 지출의 수지를 보여주며 다른 재산의 정도 반영되지 않는다.

고소득층이나 중산층이라도 해당 기간에 버는 것 이상을 지출하거나 목돈을 쓰게 되면 적자가 될 수 있다.

특히 소득 상위 30%의 적자가구 비율도 지난해 2분기 11.4%에서 올해 2분기 12.3%로 0.9%포인트 상승했다. 소득 하위 30%의 적자가구 비율은 같은 기간 51.2%에서 49.6%로 소폭 내려갔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까운 가구가 적자에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시근로자가구의 2분기 적자가구 비율도 지난해 2분기 22%에서 올해 2분기 23.2%로 1.2%포인트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고유가 등으로 인해 물가 상승세가 지속돼 실제 소비가 늘지 않더라도 소비지출 부담이 커져 적자를 보인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