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제품 수출부진 11개월來 최저


세계 경기 침체에 따라 국내 정보기술(IT) 제품의 수출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3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IT산업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8월 IT 제품의 수출은 115억3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0.02% 늘어나는데 그쳐 증가율이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IT 제품의 수출 증가율은 4월 21.6%를 정점으로 5월 18.0%, 6월 12.0%, 7월 10.1% 등으로 내려 앉았으며 8월에는 제로 수준을 나타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31억 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12.9% 급감하면서 7월 -5.9%에 이어 2개월 연속 줄었다.

반도체 가운데 D램 수출은 PC 제조업의 수요 부진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0% 감소했으며 낸드플래시 수출도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급락으로 47.8% 급감한 2억 달러에 머물렀다.

컬러TV 수출도 주요 소비시장의 경기 둔화와 가격 하락 등에 따라 4억9천만 달러에 그치면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0.9% 감소했다. 컬러TV는 지난해 9월 이후 11개월 만에 수출 증가율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다만 휴대전화 단말기는 작년 동월 대비 21.6% 증가한 28억1천만 달러를 수출해 11개월째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다. 평판 TV와 모니터용 패널 수출도 대형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16.5% 증가한 23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휴대폰은 신흥시장에서 중저가폰 판매 호조와 선진시장에서의 프리미엄폰(3G) 교체수요 확대 등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11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패널은 평판TV와 모니터용 패널의 대형화 추세 지속으로 수출이 증가했으나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증가율은 감소추세이다.

전기장비(3.7억달러, 26.3%)는 축전지(2.4억달러, 27.2%)를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접속부품(3.0억달러, 15.5%)도 PCB(2.1억달러, 15.6%)를 중심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 기록했다.

그밖에 프린터(0.7억달러, 13.2%)는 미국(17.0%), EU(12.5%) 등 선진시장 중심으로, 셋탑박스(0.5억달러, 35.1%)는 인도(488%), UAE(46.9%), 일본(10.8%) 등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4.5%)과 미국(18.4%) 수출이 증가한 반면 EU(-11.5%)와 일본(-16.4%) 등은 감소했다.

IT 수입은 반도체(13.2%)와 통신 및 방송기기(23.1%) 등을 중심으로 증가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8.2% 늘어난 62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IT 무역수지는 52억6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지경부는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에 따른 IT 수요의 부진과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수출 여건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