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원인 불완전 증권화 지적
글로벌 투자은행(IB)이 활용한 불완전.중측적 증권화가 금융위기 주범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형태 증권연구원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증권선물거래소에서 "금융위기 주범은 IB가 활용한 증권화와 신용파생상품 같은 혁신적 금융상품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불완전.중층적 증권화에 대해 "단층집을 전제로 기초공사를 한 집(MBS)에 4층짜리 집을 추가로 올린 것과 같다. 유동화 구조에 대한 적절한 파악과 적시 정보제공을 하지 못한 신용평가사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 유수 IB가 실패했으니 한국의 IB도 의미가 없다는 것은 오해라는 의견이다.
김 원장은 "중소기업이나 혁신기업처럼 은행대출이 힘든 우리나라 경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위험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위험자본을 제공하는 IB가 더 절실히 필요한 이유이며 한국 상황에 적합한 IB를 제대로 만들면 된다"고 전했다.
미국발 금융위기 교훈은 IB는 위험하니 하지말라는 게 아니라 적절한 규제와 적절한 위험관리틀 하에 IB를 제대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IB는 창의력과 독창성이 없으면 경쟁력이 없다. 금융회사가 상품을 만드는 것이나 경제활동에는 제한을 두지 말되 재무건전성에 대한 규제는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존 국내 대형 증권사는 아시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는 IB로 커나가야 하며 신설사는 중소기업이나 부동산금융에 특화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조언이다.
김 원장은 "아시아 지역 경쟁상대가 적극적으로 뛰고있는 상황에서 우리만 가만히 있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곧 국내 증권사와 일본 증권사 격차가 10배로 벌어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