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금리가 치솟으면서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연 10%를 넘어섰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자금난에 시달리면서 대출금리 상승세도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서민들의 이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의 3년 고정형 주택대출 금리는 지난 3일 현재 전주 대비 0.14%포인트 오른 8.40~10.00%를 기록하며 최고 금리가 10%를 돌파했다. 신한은행의 주택대출 금리는 5개월 간 무려 2.11%포인트 상승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의 주택대출 금리는 3년 만기 금융채의 3일치 금리를 평균 내 정해진다"며 "최근 금융채 금리의 등락폭이 커 주택대출 금리도 더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의 이번주 고정형 주택대출 금리는 8.31~9.81%로 전주 대비 0.20%포인트 급등하면서 최고 금리가 10%에 육박했다.
우리은행은 전주 대비 0.21%%포인트 오른 8.64~9.74%를 기록 중이며 기업은행은 8.00~9.46%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고정형 주택대출의 기준금리인 은행채 금리는 금융위기 여파로 원화 유동성이 부족해지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AAA급 은행채 3년물 금리는 1일 현재 7.60%로 2주일 동안 0.78%포인트나 급등했다.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에 연동하는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들썩이고 있다. 91일물 CD금리는 2일 현재 연 5.88%로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이에 따라 외환은행은 이번주 변동형 주택대출 금리를 전주 대비 0.23%포인트 오른 6.99~8.27%고 고시했다.
기업은행은 6.90~8.40%로 0.10%포인트 인상됐으며 하나은행은 6.98~8.28%로 0.07%포인트 높아졌다.
국민은행은 전주 대비 0.05%포인트 오른 6.61~8.11%로 고시했으며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6.75~8.05%와 6.65~8.25%로 각각 0.05%포인트 올랐다.
금리가 올라도 주택대출 잔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가계의 이자 부담은 한층 무거워질 전망이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 외환은행 등 주요 6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9월 말 현재 177조669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11조8464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전체 주택대출 잔액도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자가 고정형 7.9%의 금리로 1억원을 대출할 경우 연간 이자부담이 두 달새 200만원 가량 증가했다고 보면 된다"며 "가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기준금리 인하 등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