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금융업계 "글로벌 금융위기 해소 2~3년 걸릴 것"<재수정>

국내 금융기업 10곳 중 8곳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해소되려면 2~3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금융업계 18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해소에 걸리는 기간에 대해 ‘약 2년’ 또는 ‘약 3년’이라는 응답이 전체기업의 83.9%로 조사됐다.

‘약 1년’이라고 답한 기업은 11.7%, ‘5년 이상’이라고 답한 기업은 4.4%였다.

국내 금융기업의 88.9%는 이번 금융위기로 미국경제가 일본처럼 장기불황을 겪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응답했다. 이 같이 전망한 이유는 ‘미 정부의 긴축재정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속화’(30.6%), ‘지속적 세계경제 침체’(25.6%), ‘신규 투자감소로 인한 산업생산 저하’(25.0%), ‘월가의 신용위기 추가발생 우려’(16.9%) 등을 꼽았다.

기업들의 51.7%는 이번 사태로 ‘국내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답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로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기업도 94.4%에 달했다.

금융기업들은 이번 사태로 ‘재무건전성 악화 우려’(56.5%), ‘각종 투자금융(PF) 관련 부실화’(22.4%), ‘해외 외환차입애로(유동성 애로)’(14.7%) 등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으며 금융위기가 장기화 될 경우 ‘일부 자산의 인출요구 증가’(33.9%), ‘PF금융 부실 증가(26.1%)’, ‘외화유동성 부족(21.7%) 등이 우려된다고 답했다.

금융기업들은 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 대해 친경쟁적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을 주문했다. 금융기업들의 75.6%는 ‘금융규제완화 기조가 유지돼야 한다’고 답하고 ‘글로벌 투자은행이 지속적 육성돼야 한다’는 응답도 85.0%로 나타났다. 또한 ‘내년 2월 시행예정인 자본시장통합법이 국내 금융산업의 선진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응답이 77.7%에 달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우리 금융업계들이 ‘금융 부실연체 발생’, ‘실물경제 장기침체’ 등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시장의 불안해소와 금융규제 완화를 위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